IDEO 디자인 디렉터 출신, The Aesthetics of Joy의 설립자 Ingrid Fetell Lee. 그녀는 디자인을 통해 더 많은 즐거움을 찾을 수 있는 일을 한다. 그녀가 말하는 즐거움의 정의, 그리고 우리가 즐거워야 하는 이유. 📍 심리학자들에게 즐거움은 강렬하고, 순간적인 긍정적인 감정의 경험을 의미한다. 즐거움은, 행복과는 다르다. [그 순간, 바로 지금] 기분이 좋은 것이다. 이 점이 흥미로웠다. 마치 무슨 우리는 행복을 강박처럼 쫓는데 이 과정에서 즐거움을 그냥 지나치고 있었다는 것이니까. 📍몇 달동안 주변의 길거리의 사람들을 붙잡고 물아봤다. "안녕하세요? 반가워요. 당신에게 무엇이 즐거움을 주나요?" 나는 몇 가지의 단어들이 반복해서 언급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벚꽃, 수영장, 비누방울, 나무 위 오두막, 장난감 눈알, 열기구, 콘 아이스크림...] 나이, 성별, 민족을 넘어서는 것들이다. 몇몇 사람들만 느낄 수 있는 즐거움이 아니다. 양극화가 심해지지만 우리 한 명 한 명은 서로 같은 것에서 즐거움과 희망을 발견한다. 딱딱하고 각진 세상에서 누구나 갖고 있는 인간적인 면모를 깨닫는다. 📍그렇다면 이것들이 왜 사람들을 즐겁게 할까? 나는 매일 들여다보며 그 이유를 이해하려 노력했다. 그리고 그들사이의 패턴을 발견했다. [통통튀는 밝은 색깔, 둥근 것, 대칭된 모양, 풍부함과 다양성, 가벼운 느낌이나 위로 올라가는 느낌..] 즐거움이란 느낌은 신비하고 모호하지만 디자이너들이 미적 특질의 개념으로 접근할 수 있음을 알았다. 📍 한편 - 대체 우리 주변의 건물과 도시는 즐거움의 패턴과 다를까? 어린시절 우리는 모두 즐겁게 삶을 시작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휘항찬란하거나 통통튀는 건 도마위에 오르기 쉽상이다. 천진한 즐거움을 표출하는 것은 종종 유치한 사람으로 치부되곤 한다. 진지하지 못하거나, 제멋대로 이거나,..그래서 우리는 스스로 즐거움을 뒤로하고 각지고 딱딱한 세상에 살게 되는 것이다. 📍나는 생각했다. 이러한 즐거움을 우리 현실사회에 적용하면 어떨까? 즐거움의 미적 패턴을 사용한다면 우리 주변과 일상에서 즐거움을 더 많이 만들어낼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2년 간 전 세계를 샅샅이 뒤지며 우리가 사는 건축/공간을 통해 즐거움을 디자인하는 사람들을 찾아다녔다. 📍즐거운 순간은 하나하나 따져보면 작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나중에 그 순간을 전부 합친 것보다도 더 커진다. 행복을 뒤쫓는 것보다 우리가 해야할 일은 무엇일까? 즐거움을 받아들이고 즐거움이 가는 길에 우리 스스로를 좀 더 자주 노출시킬 수 있는 법을 찾는 것이다. 우리의 마음 속 깊은 곳에는, 누구나 자신의 주변에서 즐거움을 찾으려하는 본성이 있다. 즐거움은 쓸데없는 여분같은게 아니다. 우리의 본질적인 생존 본능과 직결되어 있는 것이다. 즐거움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 결국 삶을 향해 나아는 것이다.

즐거움을 향해 나아가는것은 결국 삶을 향해 나아가는것

Brunch Story

즐거움을 향해 나아가는것은 결국 삶을 향해 나아가는것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1월 18일 오전 3:0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대단한 사람

    

    ... 더 보기


    < 성공한 사람들은 ‘의도적으로’ 선택한다 >

    1. '의도적'은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단어다. 우리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일한 핵심 단어일 수도 있다.

    ... 더 보기

    < 사람은 ‘의견’을 지키는 게 아니라 ‘자존심’을 지킨다 >

    1. 우리는 어떤 저항감 없이, 심각한 감정의 동요 없이 생각을 바꾸기도 한다.

    ... 더 보기

    정부는 이런 관행이 기관의 단타 매매와 새내기주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의무 보유 확약 물량이 40%(올해는 30%)에 미치지 못하면 주관 증권사가 공모주의 1%를 6개월 동안 반드시 보유하도록 했다. 약 20% 수준이었던 의무 보유 확약 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지 못하면 주관사가 공모주 인수에 따른 리스크를 안게 되는 만큼 부담이 크다.

    ... 더 보기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서울경제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 ‘기회’는 늘 ‘문제’로 가장해서 나타난다 >

    1. 문제를 일으킬 때 했던 것과 같은 생각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