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에서 지는 흔한 이유> 1. (경쟁 프레젠테이션에서) 핵심은 (언제나) 아이디어와 솔루션이다. 2. 어디에 우선순위를 두느냐에 따라, 메시지의 힘은 달라진다. (그래서 광고회사에선) 각각의 콘셉트를 놓고 여러 사람이 여러 날 치열하게 토론한다. 3. (하지만) 어느 단계까지는 다양한 의견에 귀를 열고 받아들이되, 마지막엔 하나의 메시지만 남기고 나머지는 (모두) 버려야 한다. 4. (누군가를 설득하기 위해서는) 메시지는 통합된 하나의 메시지여야만 한다. (오로지) 하나의 목소리로 승부를 걸어야 하는 것이다. 5. 그런데 이 과정은 녹록지 않다. 부서마다 저마다의 입장이란 게 있고 자존심도, 밥그릇도 걸려 있어 부서를 넘어선 협력은 꽤나 어렵다. 처음엔 생각만 달랐는데 시간이 가며 감정까지 쌓이면 끝내 의견 조율이 안 되기도 한다. 6. (물론) 모든 경쟁을 이길 수는 없다. 하지만 패배한 경우엔 뚜렷한 공통점이 있다. 경쟁자에게 지는 게 아니라는 것. 먼저 무너진 상태에서 지고 들어간다는 것이다. 7. (특히) 싸움도 하기 전에 무너져 지고 들어가는 경우에는 내부 분열이든 무엇이든 간에, 문제의 중심엔 (언제나) 커뮤니케이션이 있다. 8. 서로 다른 의견을 하나로 모으는 것, 아이디어가 채택되지 않아 뿔이 난 사람도 내치거나 튀어 나가지 않도록 살피고 보듬는 것, 계속 남아 동료를 돕도록 하는 것, 그래서 생각도 입장도 다른 모두가 계속 ‘우리’로 일하게 하는 것, 이 모두가 커뮤니케이션이고, 9. 이 커뮤니케이션이 잘 됐을 때, 비로소 우리는 모두를 아우리는 하나의 메시지를 만들 수 있다. 10. 소통의 실패가 모든 원인은 아니지만, 패배한 조직들엔 대개 소통의 문제가 있다. 소통에 문제가 있는 조직일수록 메시지는 복잡하다.

경쟁자에게 패한 게 아니다[동아광장/최인아]

Naver

경쟁자에게 패한 게 아니다[동아광장/최인아]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4월 20일 오후 12:1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스포티파이와 멜론, 같은 음악인데 왜 경험은 다를까? >

    1. 엔터테인먼트 프로덕트의 본질은 콘텐츠다. 사용자는 콘텐츠를 소비하며 감정을 느낀다. 재미, 감동, 공포, 희열. 인간의 다양한 감정이 콘텐츠를 통해 꺼내진다.

    ... 더 보기

    DB 프로시저 싫어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Lambda/Serverless Function 이라고 생각해보십시오! 사실상 Serverless Function이랑 똑같은 것. Serverless Function도 싫어하시면 린정.

    조회 2,297


    간만에 개발 떡밥이(신난다) 이번엔 제가 소수 입장에 있는 ORM이군요. 후후..


    저는 몇몇 사건을 통해 ORM 반대주의자가 된 사람인데요.


    ... 더 보기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30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7 • 조회 1,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