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미래에 대해 좀 더 낙관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1. 사람들은 쉽게 간과하지만, '지금 우리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느냐'가 우리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2. 따라서 낙관적인 미래를 만드는 첫 번째 단계는, 미래에 대한 낙관적 생각을 가지는 겁니다. 3. 이를 위해서 자신이 도달하고 싶은 미래는 어떤 모습인지를 구체적으로 그려보고, 거기에 도달하는 방법을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실제로 어떤 일이 가능하다고 믿으면, 그 일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집니다. 다시 말해, '낙관주의'는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인 셈이죠. 5. 무엇이 세상을 바꾸느냐에 대한 수많은 논의들이 있지만, 대부분 긍정적인 변화는 낙관주의자의 신념에서부터 촉발합니다. 6.그리고 '장기적 관점'을 가지기 위해서도, 낙관주의는 필요합니다.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있어야 눈앞의 이익이나 좌절에 흔들리지 않으니까요. 7. 그런 의미에서 지금까지 있었던 과학과 지식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면, 우리는 큰 깨달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동안 있었던 과학과 지식의 발전 과정들을 보면, 우리는 '한계가 없다'는 점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모든 것들은 언제나 개선될 가능성을 품고 있는 것이죠. 8. 즉, 우리는 언제나 더 나은 길, 더 나은 방법을 상상하고 찾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미래에 대해 좀 더 쉽게 낙관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좋은 것은 더 좋게 개선될 것이고, 지금 당장에 안 좋고 불편한 것들도 언젠가는 좋아질 테니까요. 9. 또한, 낙관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우리는 '더 건강한 회복탄력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진정한 낙관주의자는 어려움이 닥치면 이렇게 생각합니다. "나쁜 일들은 언제든 일어날 수 있지만, 그 일이 일어난 원인을 알게 되면 그게 어떤 일이든 극복할 수 있다"고요. 10. 반면, 비관주의자는 자신에게 안 좋은 일이 닥치면 객관적인 이유나 원인을 찾기보다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나에게는 항상 나쁜 일만 생긴다"고요. 11. 그리고 사람들이 오해하지만,진정한 낙관주의자는 허무맹랑한 유토피아를 꿈꾸지 않습니다. 그보다는 장기적 관점을 가지고 점진적인 개선을 끊임없이 추구하죠. 이를 위해 늘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꾸준히 찾고요. 12. 물론 미래에 대한 낙관을 가진다고 해서, 현실의 어려움이 아예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낙관주의를 가진다고 해서 앞으로 닥칠 어려움들을 완전히 막을 수도 없죠. 13. 아니, 아무리 낙관주의를 가진다고 해도, 세상의 모든 갈등이나 위기나 고통이 단 한순간에 사라지는 일 같은 건 존재하지 않을 겁니다. 전쟁, 질병, 기근, 불평등 등은 인류의 역사와 늘 함께 존재해왔고요. 14.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역사는 그 암울한 시기를 지나 평균적으로는 늘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해왔습니다. 그리고 그 변화의 중심에는 항상 미래에 대한 낙관을 가지고,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낙관주의자들이 있었고요. 15. 정리하면, 과거의 낙관주의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지금 우리는 과거보다 나은 현재에 살고 있는 겁니다. 그렇기에 지금 우리에게도, 낙관적 태도를 가지고 다음 세대들에게 더 나은 미래를 물려줄 의무가 있습니다. ++ IT 업계 구루라고 할 수 있는 케빈 캘리의 <The Case for Optimism>을 노안주 님께서 번역해주셨습니다

우리는 미래에 대해 좀 더 낙관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No Settling for Writing on Notion

우리는 미래에 대해 좀 더 낙관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3월 26일 오후 11:3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보여서 걷는 게 아니라, 걷다 보니 길 >

    1

    ... 더 보기

    < 모든 선택지를 검토하다 아무것도 못 하는 당신에게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3 • 조회 658


    세상의 중심은 나다...250812

    1.●지금의 준비가 내일의 운을 부른다.
    2.●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다만 보여줄 뿐이다.

    ... 더 보기

    📣 Interview Coaching 베타 릴리즈!!

    ... 더 보기

    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

    Claude Code 실전 가이드: AI 네이티브 개발자로 가는 길

    ... 더 보기

    Claude Code 실전 가이드: AI 네이티브 개발자로 가는길_Gotama 멘토님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Claude Code 실전 가이드: AI 네이티브 개발자로 가는길_Gotama 멘토님

     • 

    저장 12 • 조회 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