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ttention 어텐션이 아니라, ethic 윤리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1. 어텐션에 대한 반발은 이미 시작되었다. 그리고 2020년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지고 있다. 정보 홍수 시대에 희소한 것은 시간과 그 시간에 기울이는 인간의 주의력, 그러니깐 attention. 그리고 이 어텐션을 끌어오려는 각종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우리는 attention economy 라고 부른다. 우리의 마음을 채우고 시선을 붙잡아두기 위해 데이터가 쌓이고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시대에 이제 조직은 '최고윤리책임자' Chief Ethics Officer를 두게 될까? (여기까지 복습 입니다) 2. 구글에서 Ethics 를 담당했던 구글의 디자인 윤리학자 트리스탄 해리스의 질문은 어텐션에 대한 반발이 당연해진 요즘 '왜' 를 다시 생각하게 만들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것들을 다시 바라보게 만든다. 앞으로의 윤리적 나아감과 현재의 프로덕트 적용이라는 양쪽 모두를 고려해야하는 구글에서 디자인 윤리를 담당했던 그의 고민에서 'attention 이 아니라, ethic 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에 대한 단초를 발견하게 된다. 3. "중요한 정보 누락의 두려움: 사람들은 대부분 중요한 정보를 놓치는 것에 두려움을 가진다. (중략) 이러한 두려움은 끝없이 팽창되는 속성이 있다. 트리스탄 해리스는 다시 질문한다. 무언가를 놓칠 염려가 있는 순간을 사는 것이 우리가 살아가는 방법이 맞습니까" 인간에게 이런 속성이 있으니 두려움을 자극하는 요소를 만들 것인가, 누락되지 않는 장치를 마련하는 요소를 만들것인가, 혹은 아예 그 질문 자체를 새롭게 할 것인가. 그것이 새로운 평범함 (new normal) 이 만들어지는 지금 시대의 주요 질문일 것이다.

구글의 디자인 윤리학자

Brunch Story

구글의 디자인 윤리학자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5월 21일 오전 6:27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LLM으로 매우 복잡하고 복합적인 작업이 들어가는 실서비스를 꽤 오랜 기간 해 온 입장에서, 요즘 말하는 콘텍스트 엔지니어링도 사실 매우 옛말이고, 현재 LLM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핵심은 뭐랄까.. 명칭을 붙이자면 플로우 엔지니어링이라고 할 수 있겠다.


    < 우리 유전자에 각인된 가장 오래된 공포 >

    1. 우리 몸은 신체적 위험처럼 '거절'에 반응한다. 과거에 거절이 곧 우리 인간 종을 신체적 위험에 처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 더 보기

    DDD와 AI

    ... 더 보기

    📢 리트코드 스터디 5기 모집합니다!

    ... 더 보기

    리트코드 스터디 5기 모집 공지 · DaleStudy/leetcode-study · Discussion #1599

    GitHub

    리트코드 스터디 5기 모집 공지 · DaleStudy/leetcode-study · Discussion #1599

    조회 1,142


    예전부터 생각해왔던 것이지만, 회사에서 내가 무언가를 이뤘다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가소로운 생각이었나 싶다. 팀과 조직이 클 수록 그렇다. 나의 결과는 결국 내가 있는, 나를 둘러싼 환경이 결정하는 것이라서, 잘했다고 설레발도, 못했다고 좌절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뒤늗게 깨달았다.


    🌞

    ... 더 보기

    Instagram

    www.instagram.com

    Instagram

     • 

    저장 1 • 조회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