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리서처가 자주 하는 실수 - 리커트척도로 문항 만들기》 설문조사는 정량조사 기법으로 UX 리서처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설문조사는 사용자가 가진 생각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 중 짧은 시간만 들이면 되기 때문에 동일한 기간 동안 모집단에 속한 응답자를 많이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죠. 많은 경우 설문은 응답자가 스마트폰으로 5분 이내에 완료할 수 있는 문항수와 난이도를 고려해서 만들고 있습니다. 시간이 더 길어지면 중간에 다른 작업으로 이탈할 수 있고, 피로도가 높아지면서 문항을 읽지 않고 응답을 하는 탓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죠. 설문을 설계할 때는 UX 리서처는 잠재적인 편향을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설문은 리서처가 아니라 마케팅, 서비스 운영 조직에서도 널리 사용하는 조사방법이기 때문에 일상에서 접하는 많은 설문에서 여러 오류를 쉽게 발견하곤 합니다. 특히, 1932년 심리학자 렌시스 리커트에 의해 알려진 '리커트 척도'를 사용한 문항에서 많은 오류가 나타나는데요. 태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가장 간단하게 물을 수 있다'라는 장점을 가진 '리커트 척도'를 사용할 때에는 UX 리서처가 반드시 주의해야 하는 편향이 있습니다. 이 기법에서는 응답자에게 일련의 척도를 홀수로 제시하며, 응답자는 보통 5점 척도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각 문항에 대해 자신이 동의하는지, 또는 동의하지 않는지 여부를 응답합니다. 많은 DIY 온라인 설문 조사에서 우리가 자주 접하는 문항 유형이 바로 리커트 척도인데요. Typeform, Survey Monkey, MS Forms, Google Survey 등 온라인 설문조사 도구에서 모두 지원할 뿐만 아니라 라디오 버튼이나 슬라이더 눈금, 별점 표시 등으로 쉽게 응답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강점입니다. 사용자에게 익숙한 방법으로 조사를 한다는 것은 유효한 응답을 더 많이 받기 위해 효과적인 방법이죠. 문제는 리커트 척도에 대한 해석입니다. 리커트 척도 응답 결과를 '전반적인 태도'로 해석하는 경우가 많지만, 엄밀히 따지면 리커트 척도는 응답자의 전반적인 태도가 아니라 특정 주제와 관련된 태도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큐레이터의 문장 🎒 ] 💡 리커트 척도를 활용한 설문을 설계할 때 주의할 점 1️⃣ 한 가지 주제에 초점을 맞춰 일련의 질문을 할 때 그룹으로 묶어서 질문할 것 (식사 만족도, 전채요리, 메인요리, 디저트 vs. 예약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분리) 2️⃣ 문항에서 묻는 질문이 모호하지 않고 정확할 것 (음식 양에 대한 것인지, 맛에 대한 것인지) 3️⃣ 해석에 따라 응답이 달라질 수 있는 형용사 사용을 지양할 것 ('상당한' 보다는 '매우'를 척도로 제시) 4️⃣ 태도에 대해서 서술형 보다는 의문형으로 사용할 것 (의문형이 더 정중하게 느껴지므로) 💡 리커트 척도는 아래와 같은 목적으로 리서치를 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A서비스 사용자가 어떤 방식으로 쇼핑을 하는지 알아보고 싶을 때 2️⃣ 사용자가 신제품 B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고 싶을 때 3️⃣ 조직 내에서 최근 벌어진 C 상황에 대해 팀원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아보고 싶을 때 4️⃣ 사용자가 D라는 기능에 대해 어떻게 생가하는지 알아보고 싶을 때 5️⃣ 사용자가 최근 참여한 UT(인터뷰)에 대해 얼마나 만족스러워 했는지 알아보고 싶을 때 💡리커트 척도를 사용할 때 UX 리서처가 주의해야 할 4가지 인지편향 1️⃣ 순서 효과(order effect) 2️⃣ 동조 효과(acquiescence) 3️⃣ 중앙 집중 경향(central tendency) 4️⃣ 패턴 응답 효과(pattern answering)

리서처가 설문을 만들 때 주의해야 할 4가지

WHTM

리서처가 설문을 만들 때 주의해야 할 4가지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2년 6월 29일 오전 11:18

 • 

저장 30조회 2,437

댓글 1

  •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저도 이번에 검사 하나를 개발 중인데, 설문제작자가 의도적으로 응답자로 하여금 원하는 반응을 하도록 유도하는 '앵커링효과'를 방지하는 데에도 신경을 많이 썼던 것 같습니다. 응답자들의 반응이 중앙에 편향되지 않도록 반응양식을 짝수로 제작했는데, 이 외에도 정말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더군요...

함께 읽은 게시물

길은 잃은 이력서



... 더 보기

 • 

저장 4 • 조회 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