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 모델에도 깃발 꽂으려는 네이버 ㄷㄷㄷ> 1. 네이버의 첫 유료회원제 가격이 월 4900원으로 결정됐다. 주요 경쟁 서비스 대비 ‘반값’ 수준의 파격적인 가격이다. 2. 게다가 첫 달은 무료다. 네이버는 지난 11일부터 진행된 사내 베타테스트와 내부 의견 수렴을 통해 가격을 최종 결정했다. 3.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은 네이버가 선보이는 첫 유료회원제 서비스다. 가입 회원은 월 4900원으로 1만2000원 상당의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4. 여기에 최대 5%에 달하는 적립혜택도 제공받는다. 쇼핑 시 네이버페이로 결제하면 기본 1% 적립에 추가적으로 4% 적립이 가능하다. 네이버웹툰을 미리 볼 수 있는 쿠키를 매달 20개(2000원) 이상 구매하고, 네이버페이로 월 7만원 이상 결제(4% 포인트 적립 2800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이득이다. 월 4900원은 결제와 콘텐츠 혜택을 포함한 유사한 경쟁 서비스와 비교하면 반값 수준이다. 5. 네이버가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구독 경제 시장 장악에 나섰다. 당초 업계에선 유료회원제 가격을 8000~1만원 수준으로 예상했다. 제공되는 디지털 콘텐츠 혜택의 가치와 시장 경쟁력을 감안한 가격이다. 네이버는 예상을 깨고, 반값 가격 승부수를 던졌다. 높은 월 이용료로 인한 수익창출보다는,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연계서비스를 제공해 플랫폼 ‘락인효과(이용자를 묶어두는 것)’를 노리는 것이 유리하단 판단에서다. #과연생각대로될지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5월 29일 오전 3:3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고용노동부에서 주관하는 청년미래플러스 3기를 모집 중이라고 합니다.

    구직자와 재직자 두 가지 트랙을 동시에 모집한다고 하네요.

    • 모집 기간: 6월 15일 ~ 8월 3일

    ... 더 보기

    간만에 재밌게 읽은 기술 포스트

    ... 더 보기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Medium

    무진장 힘들었지만 무진장 성장한 개발 이야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793


    ⟪사용자를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에 대해서⟫

    ... 더 보기

    사용자를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에 대하여 | 독서모임 | 리서치 하는데요 | 트레바리

    m.trevari.co.kr

    사용자를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에 대하여 | 독서모임 | 리서치 하는데요 | 트레바리

     • 

    저장 2 • 조회 1,050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2005년 7월에 일을 시작했으니, 올해로 개발자 생활이 햇수로 20년째다. 중간에 공백이 조금씩 있었으니 꽉 채운 스무 해는 아니지만, 숫자가 주는 무게는 여전하다. 2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이 새삼 신기하게 느껴진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