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은 아웃사이더들에게서 나온다"고 마스다 무네아키가 이야기 한 바 있는데, 최근에는 비노드 코슬라도 비슷한 취지의 말을 했다. 혁신은 내부적 관점이나 전문가적 시각에서 벗어나, 좀 더 자유롭고 상상력이 풍부한, 그리고 실행력을 겸비한 비전문가들에게서 나온다고. 어쩌면 전문가들은 경험과 현실적 판단에 근거해서 생각하고 또 움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존의 질서를 찢는 비전이나 이상은 비전문가에게서 나오는 게 아닐까? 흔히 일을 하다 보면,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종종 하게 되는데, 어쩌면 업계의 관행이나 질서에 순응하지 않고 계속해서 '비전을 가진 비전문가'로 살아가려는 시도를 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혁신하고 싶은가? 내부자 관점 버려라"

n.news.naver.com

"혁신하고 싶은가? 내부자 관점 버려라"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28일 오후 10:52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면서 건강하게 살아가고 싶다면, 우선 살아있는 한 우리가 해야 할 일들은 영원히 없어지지 않을 것이므로, 해야 할 일을 100% 해내면서 할 일 목록을 완전히 없애는 데 많은 노력을 들이기보다는 70% 정도만 해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 더 보기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m.dongascience.com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스스로 만들어 내는 스트레스

    얼마전에 신입 개발자 채용시 과제를 10분 내에 빠르게 만들어서 보낸 사람을 채용했다며, 빠르게 결과를 냈기 때문에 채용했다는 글이 SNS에 많이 돌았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한다.


    "알고리즘 많이 푸는 개발자보다, AI로 빠르게 결과 내는 사람을 선호. 알고리즘, 코딩 책 안 봐도 AI 도구만 적극 활용하면 취업 기회 잡을 수 있다."


    ... 더 보기

     • 

    저장 19 • 조회 5,005


    여러분 PostgreSQL 프로시저는 Python, JavaScript은 물론 Perl, Java, Lua 등도 사용할 수 있답니다~* 대부분 구식🤭 MySQL만 쓰셔서 모르시겠지만.. (도망간다)



    < 쿠팡의 창업자를 직접 보며 배운 것: 리더의 크기가 전부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4 • 조회 1,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