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오피스와 부동산, 그리고 콘텐츠 비즈니스> 1. 공유 오피스의 성장은, 국내 부동산 시장이 하드웨어의 시대에서 소프트웨어 시대로 넘어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2. 쉽게 말해, 수요가 공급을 앞섰던 과거의 고도 성장기에는 빠르게 토지을 매집해 건물을 올리는 하드웨어적인 역량이 중요했지만, 3. 지금처럼 저성장 시대(공급>수요)에는 빠르게 건설하는 능력보다는 기존에 건설된 건물의 가치를 높이는 콘텐츠와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소프트웨어적인 역량이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4. 패스트파이브(공유오피스)의 성장은 사무영역에서의 부동산 시장이 소프트웨어화가 되고 있는 시초로 볼 수 있습니다 (Workplace as a Service). 멤버수 1만 7000여명, 연매출 425억원을 기록한 패스트파이브조차도 국내 오피스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고작 0.1%에 불과합니다. 5. 패스트파이브는 성인 교육 서비스인 패스트캠퍼스에 170억원을 투자해, 공유오피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유효한 콘텐츠를 제공해 강력한 차별화 요소를 만들 예정입니다.

패스트파이브 2.0 – 부동산에서 플랫폼으로 (20200630 기자간담회 Recap)

FASTFIVE Corp

패스트파이브 2.0 – 부동산에서 플랫폼으로 (20200630 기자간담회 Recap)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6월 30일 오후 10:2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요즘 '바이브 코딩'이라는 단어 자체가 유행이긴 하구나 싶습니다. 워낙 가타부타 말이 많아서요. 그래서 '근본'의 말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바이브 코딩의 창시자 안드레이 카파시는 역시 단순히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사'라는 큰 그림에서 바이브 코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발전해 나가야 할지 보고 있었어요.

    ... 더 보기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 저는 책을 끝까지 읽지 않습니다 >

    1

    ... 더 보기

    데이터 이력서 템플릿 + 작성 가이드를 사용해보세요.

    ... 더 보기

    DDD와 AI

    ... 더 보기

    < 매일 아침 헬스장 가기 싫은 당신에게 >

    1. 두 선택지가 팽팽히 맞서고 어느 한쪽이 단기적으로 더 고통스럽다면 그 길이 장기적으로 이익일 가능성이 높다. 복리의 법칙에 따라 당신은 장기적인 이익을 선택해야 한다.

    ... 더 보기

    LLM으로 매우 복잡하고 복합적인 작업이 들어가는 실서비스를 꽤 오랜 기간 해 온 입장에서, 요즘 말하는 콘텍스트 엔지니어링도 사실 매우 옛말이고, 현재 LLM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핵심은 뭐랄까.. 명칭을 붙이자면 플로우 엔지니어링이라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