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마켓은 과연 지역광고로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을까? 🤔

지역광고가 성공하기 위해선 당근마켓의 다양한 지역 기반 서비스에 관심을 갖는 이용자가 많아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용자의 반응은 뜨뜻미지근하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모니터 조사 결과(2022년)에 따르면, 당근마켓을 이용하는 주된 목적은 ‘중고거래(89.7%)’가 압도적이었다. ‘지역정보 습득’ ‘지역커뮤니티 이용’ 등의 목적은 각각 10.1%, 5.2%에 그쳤다. 특히 동네 상권 정보를 습득하는 주요 채널은 ‘포털사이트(47.8%·이하 복수응답)’ ‘블로그·카페(39.7%)’ ‘가족·친구(38.2%)’ ‘발품 팔기(37.1%)’ ‘SNS(30.7%)’ ‘인터넷 커뮤니티(26.1%)’가 차지했다. - 당근마켓의 이용자가 무려 3천만명인 시대가 왔습니다. 그런데 아직까지 뚜렷한 수익모델이 존재하고 있지 않는 상황.. 과연 지역광고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을지 두고봐야겠네요. 이제 경기침체 상황이 오면서 스타트업도 이용자 확보 등의 '성장'보다는 명확한 수익모델이 필요해졌다는 말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이 추운 겨울을 많은 스타트업이 살아남기를 바랄 뿐입니다.

소상공인 마케팅... 당근마켓이 찾은 틈새와 패착

더스쿠프

소상공인 마케팅... 당근마켓이 찾은 틈새와 패착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월 11일 오전 6:30

 • 

저장 17조회 6,53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퍼스널 브랜딩의 불편한 진실

    회사에서 개인의 브랜드를 만든다는 것은 누군가를 불편하게 하는 행위이다.
    이게 무슨 말일까?

    ... 더 보기

    💜컬리의 색, '퍼플'에 숨겨진 비밀

    ... 더 보기

    [인사이드 스토리]컬리의 색 '퍼플'에 숨겨진 비밀

    비즈니스워치

    [인사이드 스토리]컬리의 색 '퍼플'에 숨겨진 비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