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이너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게슈탈트 법칙

✨️ 게슈탈트 법칙 (Gestalt Laws) 게슈탈트(Gestalt)란 독일어로 '모양' 또는 '형태'를 뜻합니다. 인지 심리학에 따르면 사람들은 서로 다른 개체들을 무의식적으로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고 해요. 이를 ‘게슈탈트 법칙’이라고 정의합니다. (The Principles of Grouping이라고도 합니다.) . . 😯 그럼 어떤 경우에 개체들이 하나로 묶여서 보이는 걸까요? 우리의 시각적 인지에는 어떤 법칙이 숨어 있을까요? 1️⃣ 근접성 / Law of Proximity 서로 가까이 있는 개체들은 시각적으로 그룹핑되어 하나의 덩어리로 보입니다. 2️⃣ 유사성 / Law of Similarity 비록 떨어져 있더라도, 크기, 색상, 모양, 방향 등의 속성이 비슷하면 하나의 그룹으로 인식합니다. 3️⃣ 간결성 / Law of Law of Prägnanz 모호하고 복잡한 이미지를 볼 때 뇌의 인지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대한 단순한 개체들의 집합으로 인식합니다. 4️⃣ 폐쇄성 / Law of Closure 완결되지 않은 형태들을 이어 하나의 완전한 형태로 인식하려 합니다. 5️⃣ 연속성 / Law of Continuity 연결된 개체들은 연결되어 있지 않은 개체들보다 서로 더 관련성이 높다고 인식됩니다. 6️⃣ 공동 영역 / Law of Common Region 서로 다른 개체들이라도 명확히 구분된 구획이나 경계선 안에 있으면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져 보입니다. . . 🤔 그럼, 게슈탈트 법칙이 왜 중요할까요? 이런 법칙들이 디자인에 어떻게 도움될까요?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디자인하기 위해선 이런 기본 법칙들을 이해하는 건 필수입니다. 사람들이 어떻게 시각 정보를 인지·해석하는 지 반드시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야 하니까요. 앞서 언급한 원리들이 자연스럽게 녹아든 인터페이스는 정보의 위계가 잘 잡혀있고, 사용성 또한 우수하기 때문에 훨씬 더 편리하고 만족스런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답니다. . . 좀 더 쉬운 이해를 위한 인스타그램에 도식화하여 설명해 두었으니,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해 보세요! . . 🤗 이 외에 더 많은 UX 법칙이 궁금하시다면? 다양한 UX 원칙들을 잘 정리해 둔 웹사이트 lawsofux.com도 한 번 살펴보시길 추천드려요 :)

Login • Instagram

www.instagram.com

Login • Instagram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3일 오전 9:12

 • 

저장 21조회 691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