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이 사용한 '인접 이용자 이론(Adjacent User)'> 1.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하던 인스타그램도 유저를 4억명 정도의 확보했을 때, 성장 속도가 느려지기 시작함. 2. 이때부터 인스타그램은 '인접 이용자(Adjacent User)'들에게 집중하기 시작함. 인접 이용자란, 제품에 대해 잘 알고 이용도 해봤지만, 그렇게 적극적으로 제품을 이용하지는 않는 사람들을 말함. 쉽게 말해, 핵심 유저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말함. 3. 제품이 아무리 특정 집단이나 시장에 핏하더라도, 어느 시점이 지나면 핵심 사용자 주변에는 여전히 제품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잘 사용하지 못하는 이용자 그룹이 발생함. 4. 인스타그램의 Growth팀의 경우, 어떤 사람들이 '인접 이용자'인지를 정의하고 그들이 무엇을 어려워하는지를 찾아내고 문제를 해결해나가기 시작함. 5. 특히 인스타그램은 가입 후 첫 일주일 동안 10명 이상의 팔로우가 생기면 계정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65% 이상이라는 사실을 알아냄. 6. 이처럼 인접 이용자들을 공략하면, 지속적인 성장뿐 아니라, 시장의 크기 또한 키울 수 있음. 7. 다만, 초기 스타트업의 경우, 핵심 유저나 핵심 페르소나에만 집중하려는 경향이 있음. 그렇게 하다 보면 인접 이용자들에게 집중할 수 없게 됨. 8. 그리고 실제로 초기 제품을 기획할 때 너무 타겟 페르소나에만 집중하면, 서비스의 성장이 정체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너무 소수의 타겟들만 쓰는 허들 높은 서비스가 될 수도 있음. 다시 말해, 인접 이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서비스가 된다는 뜻. 9. 게다가 페르소나를 정할 때, 보통 인구통계학적이나 직관적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실제로 현실의 이용자와 괴리가 될 수 있고, 처음부터 인접 이용자들을 배제할 가능성도 있음. 10. 따라서 처음에는 핵심 타겟층을 정함과 동시에 그 주변에 어떤 사람들이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도 가설을 세울 필요가 있음. 11. 그리고 사업 초기에는 실제로 핵심 타겟들에 집중한 서비스들을 만들며, 인접 사용자들에게 대한 정보와 학습을 해야 함. 그렇게 '목표 타겟+1차 인접 이용자'를 만족시키는 제품을 만들고, 또 그 다음으로 그 주변의 인접 이용자들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그들을 불편함을 해소해주는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 눈덩이를 굴리듯 계속 성장할 수 있음. 12. 인스타그램은 이런 방식으로 4억명에서 10억명의 유저를 꾸준히 확보할 수 있었음.

인스타그램을 10억 사용자로 만든 "인접 사용자 이론" | GeekNews

GeekNews

인스타그램을 10억 사용자로 만든 "인접 사용자 이론" | GeekNew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7월 30일 오전 6:1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장안의 화제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제작 기간은 4.5년, 구상 단계부터하면 9년. 제작비는 약 1천억원($70M+) 수준.


    역시 뭐든 금방 쉽게 되는 건 없다. 생각보다 엄청난 자금이 들어갔다는 것이 놀라우면서도 부러운 부분. 역시 글로벌이 답이다.

    조회 707


    📰 개발자로서 읽어야 할 책 8권 ✍️ dev.to에 올라온 개발자 도서 추천글을 번역해보았습니다. 추천된 8권 중 7권이 한글 번역이 되어있으니, 한 권씩 차근 차근 읽어나가보면 좋을것 같아요! 특정 프로그래밍 기술 혹은 언어에 대한 것이 아닌 큰 맥락으로서의 개발 서적들이니 도메인과 분야를 막론하고 한번 도전해보시길 추천합니다. :) 저는 목록 중에 '코드 컴플리트' 한번 도서관에서 빌려서 앞에 조금 펼쳐보다가 그대로 반납한 기억이 있네요 ^^.. 궁금하시다면! 실물 한번 찾아보시면 바로 끄덕끄덕 하실꺼에요 ㅎㅎ --- #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7077663 -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닌 논리 관점에서의 언어 지혜를 다루고 있습니다. 코드 작성, 우수한 팀 구성, 관리, 도구 등 더 나은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여러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 https://pragprog.com/tips/ # 리팩토링 - http://www.yes24.com/Product/Goods/89649360 - 왜 그리고 언제 리팩토링을 해야할까요? 클래스나 메서드는 어떻... 더 보기

    Books to Read as a Developer

    DEV Community

    Books to Read as a Developer

     • 

    댓글 4 • 저장 432 • 조회 9,595


    피자헛이 피자 박스를 피자로 바꿔주는 ‘프리 피자’ 캠페인을 선보인 이유

    <빈 피자 박스를 새 피자로 리필 받는 경험🍕>... 더 보기

    피자헛은 왜 빈 피자 박스를 피자로 바꿔주는 ‘프리 피자’ 캠페인을 선보였을까?

    thinknote | 제 생각과 제게 영감을 준 브랜드와 트렌드 이야기를 다룹니다

    피자헛은 왜 빈 피자 박스를 피자로 바꿔주는 ‘프리 피자’ 캠페인을 선보였을까?

    디자인 컴포넌트 기반 AI 프로토타이핑

    A

    ... 더 보기

    - YouTube

    www.youtube.com

     - YouTube

     • 

    저장 14 • 조회 567


    < 창조도 결국, 뒷받침이 필요하다 >

    1. 회사의 본체는 오히려 사무에 있습니다. 연구 성과든 작품이든 뭐든 ’상품‘은, 사무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으면 나올 수 없습니다.

    ... 더 보기

    실서비스에 반영할 기능을 가끔 바이브 코딩만으로 개발 해 보는데, 두어달 전만해도 어려웠던 구현이 이제 벌써 가능해졌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