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개발자와 클라이언트 개발자

“서버 개발자예요, 클라이언트 개발자예요?” 누가 묻는다면 뭐라고 대답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글쎄요, 둘 다 하긴 하는데.. 둘 다 잘하지는 못해요 헤헤.” 이렇게 대답하지 않을까? 스타크래프트를 처음 접했을 때. 시작은 저그였습니다. 왜 저그를 골랐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저그, 테란, 프로토스를 각각 맛보다가 저그가 제일 마음에 들었던 건지 아님 제일 편했던 건지. 그렇게 몇 년을 하다가 나중에는 테란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저그가 지겨워졌나? 임요환하고 이윤열이 멋있어서 그랬나? 테란의 전성시대라서 그랬나? 모르겠습니다. 각자 조금씩 영향이 있지 않았을까? 이후로는 테란을 더 많이 했습니다. 저그와 테란과 프로토스의 경험치를 떠올려 보면 45% 대 45% 대 10% 정도가 아니었을까? 가끔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이러다간 죽도 밥도 안된다. 저그든 테란이든 뭐 하나라도 제대로 하는 게 있어야지. 내 주종족이 뭐냐 물으면 할 말이 없네. 내가 내 주종이 뭔지 모른다는 게 말이 되나? 프로게이머 중 이런 사람이 있는가? 아니, 없지. 한 편으론 이런 생각도 들었습니다. 아이, 몰라. 그냥 재미로 하는 건데 뭘 그렇게 따져. 그냥 즐기면 되지. 개발자가 되어서도 비슷했습니다. 백엔드 개발이 45% 앱개발이 45% 프론트엔드 개발이 10%. 클라이언트 개발자냐 서버 개발자냐 물으면 할 말이 없었습니다. 둘 다 하긴 하는데 뭐가 주종이라 확실하게 말할 수가 없어. 더 이상 이 걱정을 하지 않습니다. 1인 개발자의 관점에서 보면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다 할 수 있다는 것은 축복입니다. 각각 최고 레벨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이 둘을 모두 할 줄 아는 사람이 별로 없기 때문에. 그 자체로 특별합니다. 많은 개발자들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개발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하나만 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함께 돌아가야 하는 구조. 이 둘을 모두 다룰 수 없다면 1인 개발자로서 만들 수 있는 것은 별로 없습니다. 날씨, 다이어리, 투두앱이나 만들지 않을까. 반면 둘을 모두 다룰 수 있다면.. 만들 수 있는 것은 무한에 가깝습니다. 1인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모두 해본 것은 아닙니다. 1인 개발자라는 말도 없었고 그게 뭔지도 몰랐습니다. 그냥 저그와 테란을 해보듯이. 그냥 재미로. 다른 종족이 너무 궁금해서. 이 선택을 절대 후회하지 않습니다.

서버 개발자와 클라이언트 개발자

K리그 프로그래머

서버 개발자와 클라이언트 개발자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13일 오전 3:20

 • 

저장 99조회 7,932

댓글 5

  • 컴퓨터 공학에 속한다면 그것은 즐거운 것입니다.

  • 한 포인트는 추측이 됩니다. ㅎㅎ 내가 스타를 접 하고선 내가 뭘 잘하고 재밌어하는지 모르니 이것 저것 하다보면 난 이 종족이 나랑 잘 맞아 . 그래 난 테란이 재밌어 이렇게 흘러가듯이 개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 되어지네요. 특히나 주니어 개발자는 프론 백엔 가리지 말고 알아갈 때는 다 해보는게 좋겠단 생각이 들어요. ㅎㅎ 추후에도 바뀔 수도 있지마요. ㅎㅎ

  • 어려운만큼 분명 큰 스펙이 될것입니다

  • 맵의 모든 지형지물을 파악하고있어도 테란밖에 할줄 모른다면 대테전 외엔 어려움이 따르는법이죠 드라군으로 마인제거는 못하더라도 드라군의 사거리와 벙커마린의 사거리 모두 알아야 gg를 면할 수 있고 뮤짤은 못하더라도 뮤탈에 대해 잘 알아야 터렛을 알맞은 타이밍에 필요한 만큼만 설치할 수 있겠죠 멋지십니다

  • 최근에 nest를 두 달 정도 공부하다 다시 리액트를 하려고 하니 까먹은 부분들이 많더라고요. 프론트로 취업을 하려고 하는 상황이거든요! 정말 저도 재밌어서 한 것이었지만 잘못된 선택인 것인가 하는 생각도 들었었는데, 이번 글을 읽고 마음이 편안해 진 거 같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함께 읽은 게시물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더 보기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개발자의 장애 공유 문화

 • 

저장 12 • 조회 2,651



연차가 주는 압박감: 연차 << 경험의 밀도

... 더 보기

2024-05-29 한기용 팬(?) 모임

Google Docs

2024-05-29 한기용 팬(?) 모임

 • 

댓글 2 • 저장 28 • 조회 5,725


한 번만 vs 한 번도



... 더 보기

 • 

조회 621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 

저장 111 • 조회 3,041


🕊️ 코딩테스트를 위한 리트코드 60

많은 회사들이 채용 프로세스의 과정 중에 하나로 코딩 테스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벼락치기로 준비하기도 힘들 뿐더러 요령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취준생들이 꽤나 골치아파 합니다. 뻔한 말이지만 꾸준히 하는 것 밖에는 답이 없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코딩 인터뷰를 위한 60가지 리트코드 문제'를 가져왔습니다. 구글 시트로 깔끔하게 정리된 버전도 있어서 후다닥 가져왔습니다. 저자에게 감사를(_ _)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Y98QKaYPazWImEt1nA_ocp... 더 보기

60 LeetCode questions to prepare for coding interview

Medium

60 LeetCode questions to prepare for coding interview

 • 

댓글 2 • 저장 1,081 • 조회 15,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