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일하는 마음>을 읽었어요

오랜만에 <일하는 마음>을 읽었어요. 일하는 방법은 아는데, 그 일과 과정이 과연 나를 성장시킬지 고민이 들 때 종종 이 책을 펴고는 합니다. 성장을 향한 욕구, 내적 동기, 책임감이 있다고 하더라도 '일을 통한 성장' 자체의 의미를 되새겨야 할 때가 오거든요. 또 이것이 자연스럽다고 생각합니다. 건강한 회고와 고민이 없으면 '일을 하는 나'에 도취되고 마니까요. 우리 모두 '일을 잘하는 것', '성장하는 것', '좋은 사람'의 의미를 정의하고 있어요(그리고 각 단어에 대한 각자의 생각이 모두 다르다고는 하지만 솔직히 우리는 어렴풋이, 어떤 경계 사이에서 무엇이 '일을 못하는 것'인지, '사실은 성장이 아닌 것인지', '나쁜 사람'인지는 알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거기 기반해서 아래 <일하는 마음>의 인용문을 읽어보면 좋겠습니다. -----------------------------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일을 하는 것은 아니다. 이 생각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일을 잘하는 것과 좋은 사람이 되는 것이 별개의 문제이거나 심지어 충돌하게끔 하는 일이라면, 그런 일은 웬만하면 하지 않는 편이 낫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다. 동시에 좋은 사람이 되는 것이, 상대방에게 듣기 좋은 소리만 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것도 이제는 안다. 얼굴 붉힐 일을 만들지 않고 ‘안 됩니다’라는 말을 피하는 것은 가장 손쉬운 선택이고 자기 자신에게 유리한 결정이기도 하다 (*책에는 여기서 문장이 끊겼지만 제 생각에는 '그러나 이것이 곧 좋은 사람은 아니다'라는 문장을 더해야할 것 같아요. 그리고 사실 현명하지도 않고요). 어쩌면 나를 힘들게 했던 것은 상대가 듣기 싫어하는 말을 해야 한다는 사실이 아니라, 그 말을 해야 하는 이유를 나 자신이 충분히 납득하지 못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일이 되게 하려면 ‘나쁜 사람’의 역할을 해야 한다는 데는 동의했지만, 그 ‘되어야 하는 일’의 순리에 대한 의심이 어렴풋이 들었고 그 일이 (나에게) 줄 상처 또한 알고 있었다. 그 일이 전부 자연스럽고 결국 좋은 일이라고 확신할 수 있었다면, 지금 해야 할 ‘나쁜 사람’의 역할이 궁극적으로 ‘좋은 사람’이 되는 것과 충돌한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일을 하는 것은 아니고, 더구나 특정한 누군가에게 좋은 사람이 될 필요는 없겠지만, 일을 잘한다는 것이 궁극적으로 더 좋은 사람이 되게끔 이끌어주지 않는다면, 굳이 일을 잘하려고 애쓸 필요가 있을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3월 20일 오후 1:1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요즘 '바이브 코딩'이라는 단어 자체가 유행이긴 하구나 싶습니다. 워낙 가타부타 말이 많아서요. 그래서 '근본'의 말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바이브 코딩의 창시자 안드레이 카파시는 역시 단순히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사'라는 큰 그림에서 바이브 코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발전해 나가야 할지 보고 있었어요.

    ... 더 보기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퇴사한다했더니, 가지말라네요. 카운터 오퍼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AI와 코딩할 때, 혹시 결과만 말하고 계신가요?
    얼마 전 프로필 페이지를 AI와 함께 만들면서 이상한 걸 발견했어요.

    ... 더 보기

    - YouTube

    youtu.be

     - YouTube

     • 

    저장 13 • 조회 1,337


    소프트웨어 QA - 실무 Q&A

    ... 더 보기

    취업 준비생 주목! 새로운 개발자 면접 유형

    열심히 동적 계획법과 그래프 알고리즘 이론 공부했는데 면접으로 프레젠테이션을 만들어서 발표하라고 합니다. 프레젠테이션하는 개발자 면접 그리고 알고리즘 문제 풀지 않는 개발자 면접은 어떠신가요? 🌱 새로운 유형이 기존 유형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 새로운 면접 유형 “요즘 새로운 유형”이라는 표현은 부적합하지만, 최근 2~3년간 기존 방식 외 다른 유형의 면접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1️⃣ 30분~60분짜리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 면접은 본인의 사이드 프로젝트를 보여주거나 전문 지식... 더 보기

    취업 준비생 주목! 새로운 개발자 면접 유형

    velog.io

    취업 준비생 주목! 새로운 개발자 면접 유형

     • 

    저장 48 • 조회 5,194


    어려움을 극복하는 힘

    ... 더 보기

    예전부터 생각해왔던 것이지만, 회사에서 내가 무언가를 이뤘다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가소로운 생각이었나 싶다. 팀과 조직이 클 수록 그렇다. 나의 결과는 결국 내가 있는, 나를 둘러싼 환경이 결정하는 것이라서, 잘했다고 설레발도, 못했다고 좌절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뒤늗게 깨달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