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와 BX의 균형 맞추기 - UX,BX,CX에 대한 설명 포함

UXUI 스터디 운영 과정에서 좋은 아티클을 발견해서 정리하고 공유해봅니다 :) 결국 UX,BX,CX모두 "경험"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개념에 얽매이기 보단 UX,BX,CX모두 협업해서 비즈니스의 성공에 기여해야 한다는 것을 생각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위클리 UXUI분석 챌린지 스터디 참여 링크 : https://holix.com/ch/bVaKQMNB) ✅ UX, BX, CX란? - BX : 고객이 브랜드를 만났을 때 전체적으로 느껴지는 감정 및 경험 - CX : 고객이 브랜드의 플랫폼과 인터렉션할 때 일어나는 경험 - UX : 고객이 브랜드의 특정한 서비스 및 제품과 만났을 때의 경험 ✅UX,BX,CX,의 괸계 Brian Solis의 이론에 따르면 BX,UX,CX 순으로 큰 개념이라고 한다. 물론 BX/UX/CX의 해석에 따라 포함관계는 달라질 수 있다. ✅BX에 대하여 - 사실상 Branding과 개념적으로 동일하다. 기존의 Brand design이 미적인 부분으로 주로 활용되었다면 경험차원에서 Experience라는 용어가 뒤에 붙게 되었다. - Branding이란 사람들로 하여금 브랜드에 대한 Gut Feeling (느낌적이 느낌) 을 느끼게 하기 위해 하는 일이다. - 결국 다양한 터치포인트를 통해 브랜드를 접할 수 있게 된다면 그것이 바로 BX이다. - 또한 브랜드와 연관된 다양한 자극 요소들이 브랜드 경험을 만들어낸다. 브랜드 경험이란 고객이 브랜드를 만났을 때 해당 브랜드를 느끼고 이해해가는 방식. ✅UX에 대하여 - UX는 UX의 거장인 ‘도널드 노먼’ 교수의 인지심리학에서 유래되었다고 알려져있다. BX가 경영이나 마케팅에 가까운 배경이라면 UX는 공대가 베이스라고 볼 수 있다. (도널드 노먼이 컴퓨터 공학과 교수이다.) - UX는 직접적인 매출에 기여하는 것보다 사용자의 편리를 목적으로 발전되어 왔는데 좋은 사용성으로 인한 매출 증대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UX는 점점 고도화 되어가고 있다. ✅ BX와 UX는 상호작용 하고 있다. - BX와 UX는 상호보완관계에 있으며 제품 및 서비스의 비즈니스가 성공하는데 도움을 준다. - 결국 다양한 부서가 협업하여 좋은 브랜드 경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여 좋은 이미지를 구축하고 나아가 비즈니스를 성공시켜야 한다. - 좋은 예시로는 애플이 있다. 좋은 UX로 소문나있지만 브랜드 랭킹에서도 수년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BX와 UX의 밸런스를 잘 맞춘 것이다. ✅ BX를 위해 UX적인 요소를 도입한 경우 예시 - 성공적인 BX를 위해 UX적인 요소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 이케아 오프라인 스토어의 경우에는 모든 쇼핑 동선을 경험할 수 있게 유통업계에서 드문 “일방통행식 동선”을 갖고 있다. - 사실상 고객에게 불편한 UX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지만
중간에 힘들 즈음 쉴공간과 식당을 제공하였다. - 가격이 저렴한 식당을 경험하며 ‘가성비’라는 키워드가 
이케아의 브랜드 이미지에 스며든다. 
EX) 1000원 핫도그콤보 / 2500원 샌드위치 콤보 ✅UX를 위해 BX적인 요소를 도입한 예시 - 반대로 UX를 홍보하기 위해 브랜드로서 마케팅하는 경우가 있다. MIUI는 샤오미에서 제작한 펌웨어의 이름인데 꾸준히 브랜드를 홍보하고 있다. - UXUI를 공식적인 명칭으로 브랜드화 한 사례가 하나 또 있다. 바로 삼성의 One UI 이다. ✅ 결국 중요한건 밸런스 - UX와 BX는 호보완적이며 전략적으로 움직인다. - UX와 BX는 함께 가야 한다는 말을 하고 싶다. - 디자인을 할 떄 컬러 / 폰트 등에서 브랜드 이미지, 느낌을 드러내고 사용성을 적절히 챙기는 것 처럼 UX와 BX는 결국 
”좋은 경험”을 제공하여 비즈니스의 성공에 기여해야 한다. 💬 운영자(저) 의 코멘트 - 이 포스팅에서 UX,BX,CX등 개념적인 부분을 다루긴 했지만 너무 개념..상관관계에 얽매이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결국 UX,BX,CX 모두 "Experience"에 대한 것이라는게 중요한 것 같아요. 그리고 그 Experience는 다양한 방식으로 비즈느스의 성공에 기여한다고 봅니다. 가령 브랜드 경험은 "아 이 브랜드!" 처럼 나중에 떠올라 비즈니스에 기여하기도 하고 UX는 결제가 쉬워서 전환율이 높다.. 등등 즉각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것 처럼 말이죠. -"아하 이런 관점이 있구나"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한다는건 단순히 인터페이스 뿐 아니라 브랜드 경험조차 사용자 경험의 일부분이구나! 한 쪽에 소홀하면 안되겠다! 지금 어느 경험에 집중하는 것이 좋을까?"등의 생각을 하기 바랍니다.

UX와 BX의 밸런스 맞추기

Brunch Story

UX와 BX의 밸런스 맞추기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4월 22일 오후 12:20

 • 

저장 11조회 1,003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