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성⚙️ 번아웃을 막기 위한 건강한 Forcing Function (John Cutler) 저는 Forcing Function이라는 개념을 좋아합니다. Forcing Function이란 '사람이 뭔가를 강제적으로 할 수밖에 없게 만드는' 것을 얘기합니다. 예를 들어, 회의에서는 의사결정 내용, 후속 조치, 담당자, 데드라인 등이 나와야 하지만 팀원들이 그걸 실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고 해 보겠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Forcing Function은 회의록 템플릿에 '결정사항, 후속조치, 담당자, 데드라인' 항목을 대문짝처럼 써 놓는 것입니다. 그럼 회의 참여자들은 그 항목을 채우지 않고는 회의를 끝내지 못하게 되겠죠. John Cutler는 번아웃을 막기 위해서도 건강한 Forcing Function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면, 중요한 프로젝트가 하나 끝나면 무조건 1주 휴식 기간을 둔다든지, 1주일에 이틀은 무조건 회의 없는 날로 만든다든지, 1주일에 10시간은 집중하는 시간으로 캘린더에 박아 둔다든지 하는 거죠. 업무 강도가 높은 분들이라면, 그리고 스스로를 채찍질하면서 일하는 분들이라면 번아웃을 막는 데 이런 방법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TBM 30/53: Healthy Forcing Functions (and Paying Attention)

Substack

TBM 30/53: Healthy Forcing Functions (and Paying Attention)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8월 12일 오전 4:0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포트폴리오) 내용, 이 순서로 정리하세요!

    데이터 분석가로 취업 및 이직을 준비하시는 분들과 많은 커피챗, 포트폴리오 리뷰를 진행하면서 많이 받은 질문이 있었습니다. Q. 포트폴리오에 넣는 프로젝트 내용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나요? 🧐 포트폴리오 속 프로젝트를 어떻게 정리해야 실력 있는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역량을 드러낼 수 있을까요?! 데이터 분석가는 ‘데이터를 활용해 서비스와 비즈니스를 성공적으로 이끄는’ 사람입니다. 데이터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어야 하고, 비즈니스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지요. 이러한 핵심 역할을 다하기 위해 데이터 분석가는 ‘문제정의 및 핵심 질문 만들기 → 데이터 탐색 및 데이터 추출, 가공 → 데이터 분석 → 결과 내용 정리 및 공유(성과지표 확인) → 액션(가설 확인) 및 피드백을 반영’의 순서로 업무를 진행하게 됩니다. 즉, 포트폴리오 속의 프로젝트도 이런 흐름에 맞추어 정리한다면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사고방식과 역량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1️⃣  문제정의 및 핵심 질문 만들기 - 어떤 문제상황을 인식했는지 이야기합니다. - 그 문제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어떤 핵심 질문을 만들었고, 어떤 가... 더 보기

     • 

    댓글 4 • 저장 56 • 조회 4,174


    데이터 분석가 채용공고 40개 분석한 데이터 공유합니다

    ... 더 보기

    데이터 분석가 되려면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요?

    datarian.io

    데이터 분석가 되려면 어떤 역량이 필요할까요?

    Meta SWE 면접 합격 후기

    ... 더 보기

    Meta SWE 면접 합격 후기

    www.nyprogrammer.com

    Meta SWE 면접 합격 후기

    ChatGPT의 Deep Researh에 GitHub을 연결 할 수 있게 되었군요!

    ... 더 보기

     • 

    저장 2 • 조회 2,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