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실험적으로 도입된 INP(Interaction to Next Paint)가 이제 정식으로 Core Web Vitals에 포함되어 FID(First Input Delay)를 대신해서 웹사이트의 성능을 측정하는 매트릭으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구글 검색에서 Core Web Vitals의 결과가 쓰이므로 실제 적용은 내년 3월부터 적용될 예정입니다. Core Web Vitals 중 하나였던 FID(First Input Delay)는 웹 브라우저에서 페이지가 열리고 첫 사용자 인터랙션을 처리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는데 더 정확히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와 인터랙션 하는 시간과 브라우저가 실제로 이벤트를 처리하는 시간의 차이를 측정하는 메트릭입니다. 실제 사용자의 사용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첫 번째 입력 뿐 아니라 모든 입력의 응답성을 고려하고 이벤트의 전체 지속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새로운 메트릭을 개발한게 INP(Interaction to Next Paint)였는데 이제 충분히 FID를 대체해서 효과적으로 웹페이지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도입이 결정되었습니다. https://developers.google.com/search/blog/2023/05/introducing-inp

Introducing INP to Core Web Vitals | Google Search Central Blog | Google for Developers

Google for Developers

Introducing INP to Core Web Vitals | Google Search Central Blog | Google for Developer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5월 17일 오후 1:2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액터모델을 이용 이벤트소스/클러스터상태관리를 우아하게하기 - 코틀린


    ... 더 보기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Projects/PERSIST_DURABLE_CLUSTER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

    GitHub

    kopring-reactive-labs/AgenticCoding/Projects/PERSIST_DURABLE_CLUSTER at main · psmon/kopring-reactive-labs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이 문제는 왜 해결해야 하죠?” 토스페이먼츠의 Product Manager는 늘 이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화면을 기획하거나, 기능을 정리하는 일보다 먼저 우리는 문제의 본질을 정의하고 싶은 사람들입니다. 그렇다면 ‘문제의 본질’부터 고민하는 토스페이먼츠의 PM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을까요? 토스페이먼츠 PM 김명훈님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세요.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toss.im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나는 종종 생산성을 올리기 위한 각종 개발 툴은 물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를 구매하기도 한다.


    소스 코드의 경우 실제로 써먹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수 되긴 하지만, 그래도 구성이나 코드를 보면서 배우는게 있기 때문에 학습 비용이라고 생각하고 가끔 구매하는 편이다.


    ... 더 보기

    🍜 짜파게티가 왜 거기서 나와?

    ... 더 보기

    알아 알아 알아! 🤣

    ... 더 보기

    이젠 Claude 모델이 그렇게 압도적으로 좋은 건 아닌데, Claude Code는 진짜 분명하게 좋음. 아마도 프롬프트가 잘 되어 있어서 그런 것 같음. Claude의 다른 프롬프트들은 공개해뒀는데 Claude Code용 프롬프트는 공개를 안해줌. 역시 아무리 투명하게 공개한다고 해도 진짜 좋은 건 다 기업비밀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