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가의 글쓰기 철학> 1. "뭔가를 이루고 싶다면, 독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 가족, 직장, 나라에 의존하며 살다보면, 내가 왜 사는지, 내가 누구인지 모르게 된다. 그러다 혼자 있으면 외롭다고 엄살이나 피우고" 2. "인간이라면 목적을 가지고 살아야 한다. 간단한 목적이 아니라, 죽을 때까지 계속해야 이룰 수 있는 궁극의 목적" 3. "(작가에게 궁극의 목적은) 궁극의 소설이다. 이 책 하나만 있으면 다른 소설은 필요 없는 그런 소설. 단순한 일이 아니다. 그래서 계속 쓴다" 4. “문학은 인간의 본질을 묻고, 세계와 일대일로 대결하는 예술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일본 문학은 '사(私)소설'이다. 마누라가 어쨌다는 둥, 와인이 어쨌다는 둥, 나는 이렇게 괴롭다는 둥… 근본적 고민이 없다. 5. "예술가는 음지 식물이다. 비료를 너무 많이 줘도, 빛을 너무 많이 쪼여도 죽는다. 비료는 돈, 빛은 명예. 둘만 추구하면 몹쓸 예술가가 된다. 그러다 나자빠지는 인간들, 주변에서 여럿 봤다. 하나 더. 국가와 권력에게 예술가가 꼬리를 흔들면 안 된다는 것이다. 어쩌면 돈과 명예 추구보다 더 중요하다" 6. "(그리고) 돈? 명예? 그 때문에 소설을 쓰겠다면 (당장) 그만둬라." 7. "나이를 먹을수록 더 좋은 문장을 쓸 수 있다. 왜 매일 새벽 4시에 일어나 글을 쓰는지 아나. 향상과 발전을 위해서다. 사격선수도 마찬가지 아닌가. 다섯 발이든, 열 발이든, 매일같이 훈련한다. 단순히 실력 유지를 위해서라면 일주일 정도까지는 쉬어도 괜찮을 거다. 하지만 향상을 꿈꾼다면 매일 써야 한다" 8. "내 문학 인생을 멀리뛰기에 비유한다면, 지금까지의 50년은 도움닫기를 했다고 생각한다. 이제는 점프를 할 때다. 앞으로 10년 동안 100권을 모두 고쳐 새로 내겠다" ++2017년 기사입니다.

文學은 1대1로 대결하는 예술.. 떼거리로 하는 게 아니다

다음뉴스

文學은 1대1로 대결하는 예술.. 떼거리로 하는 게 아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8월 17일 오후 10:5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서류탈락 반복? 이거 안 하면 절대 못 붙어요

    ... 더 보기

    가짜 프로젝트를 판단하는 점검항목

    PM이 프로젝트를 수락하기 전에 그 프로젝트가 진짜인지 가짜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 더 보기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382


    창업 후 성장이 필요하거나, 회사의 규모에 상관없이 성장이 정체되어 있는 회사들은 주먹구구식 경영에서 탈피하여 회사를 시스템화해야 합니다. 이는 회사의 생존은 물론이고, 한 단계 더 높은 도약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입니다.

    ... 더 보기

    [주먹구구식 경영 탈피] 도대체 회사의 시스템(체계)이란 무엇일까요?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주먹구구식 경영 탈피] 도대체 회사의 시스템(체계)이란 무엇일까요?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제미나이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