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vs 프로젝트, 무엇부터 해야하지?

안녕하세요. 데이터를 더욱 재미있고 가치있게 배울수 있도록 교육 컨텐츠를 만드는 크리에이터, 데이터 리차드입니다. 데이터 직무 취업을 준비할 때, 필요한 요구사항들이 워낙 많고 다양하다보니 사실 어떤 부분이 실제로 취업에 도움이 되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어떤 능력을 현업에서 가장 중요시 여기는지 궁금해진 저는 저의 링크드인 계정을 통해 설문조사를 하였습니다. 총 89명의 분들이 저의 설문 조사에 참여해 주셨습니다. 아래는 링크드인을 통해 조사한 설문 조사의 결과입니다. 아래의 막대 그래프를 볼까요? 예상했지만 생각보다 더 명백한 스토리를 보여줍니다. 데이터 코딩 실력은 54%를 차지했습니다. 기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는 34%를 차지했습니다. 이력서/ 포트폴리오는 12%를 차지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 관련 자격증은 대답의 0% 를 차지했습니다. 89명의 참여자들 모두 자격증을 가장 필요한 요소로 뽑지 않았습니다. 나의 역량을 자격증으로 증명하려 한다면, 그 것은 오히려 독이 될수도 있습니다. 자격증은 자격을 부여받기 위해 따는 하나의 증명서입니다. 하지만 자격을 부여받은 다음 우리는 어떤 것을 이룰수 있을까요? 전문가가 아니라도 좋습니다, 우리는 목적을 위한 배움이 필요합니다. #데이터리차드 #데이터교육 #데이터분석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6월 30일 오전 1:42

 • 

저장 2조회 1,8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간밤에 OpenAI가 오픈소스 모델을 발표했네요.

    ... 더 보기

    < 몇 번 졌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인생은 결국 득실차다 >

    1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2 • 조회 826


    < 사람들은 이제 ‘기능’이 아닌 ‘의미’를 소비한다 >

    1

    ... 더 보기


    상상, 그 이상

    

    ... 더 보기

    조회 557


    OpenAI의 오픈소스 모델 gpt-oss 시리즈의 차별점(?) 중에 하나는 가중치를 4.25bit 양자화해서 공개했다는 것이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