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는 언제나 새롭고 커야만 한다
blog.naver.com
1
지구 어디서든 밤이 되면 달이 보인다. 눈에 보이지만 지구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는 감이 안 온다.
2
케네디가 말했다. 밤하늘에 떠있는 저 달에 사람을 보내겠다고. 정말 원대하고 불가능해 보이는 목표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믿지 못했을 것이다.
3
1972년 사람은 달에 도착한다. 목표를 이뤘다. 50년이 지났다. 이제 인류는 다음 목표에 도전 중이다. 화성이다.
4
달에 다녀온 그 우주비행사들을 보자. 그들은 평생을 달 착륙만을 위해 훈련하고 준비했다. 그리고 목표를 이뤘다. 인류 최초의 역사를 썼다. 달에서 지구의 모습을 봤다. 그 성취감과 기쁨은 아무도 모를 거다.
5
여기가 끝이라면 해피엔딩이다. 하지만, 불행히도 지구로 돌아온 비행사 몇 명은 극도의 우울감에 빠지게 된다. 이제 더 이상 해야 할 일도, 기대할 것도 없었기 때문이다.
6
달에 가는 원대한 목표를 이루고 성취감을 맛봤다. 무사히 지구로 돌아왔다. 이제 무얼 해야 할까. 더 어떤 목표를 생각할 수 있을까? 생각해도 실행할 수 있을까? 삶의 의미를 찾기 어려웠을 것이다.
7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딴 선수는 얼마나 행복할까? 금메달은 순간의 기쁨이다. 금메달만이 목표였다면 그 행복은 오래가지 못한다. 그다음의 목표를 상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8
케네디는 달에 도전하는 이유가 어렵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목표는 늘 새롭고 커야한다. 목표 자체를 달성하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목표가 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그 목표가 주는 의미가 사람을 성장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9
우리는 모두 행복하길 바란다. 하지만 행복은 달성할 수 있는 목표가 아니다. 그 목표를 향해 가는 여정의 순간들이 행복이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18일 오후 11:53
최근 어떤 기업의 창업자가 고향 주민들과 지인들에게 최대 1억 원씩 총 1,400억 원을 나누어 주었다는 언론 보도가 화제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흔치 않은 ‘나눔’의 사례로 창업자가 도움받았던 사람들에게 보은하는 ‘감사의 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 더 보기알람 소리에 반사적으로 일어나서 준비를 마치고 정신없이 이동하면 어느새 사무실 책상에 앉아 있게 됩니다. 동료들과 인사를 마치고 컴퓨터를 켜는 순간 업무는 시작되지요.
... 더 보기1. 큰 수의 법칙. 시도가 많아질수록 결과는 평균에 수렴한다. 주사위를 많이 던질수록 각 숫자가 나오는 확률은 1/6에 가깝다.
프로덕트 매니저(PM)로 일하면서 늘 지표 이야기를 듣게 됩니다. 대부분 PM은 선행지표(leading indicator)와 후행지표(lagging indicator)의 개념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선행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인풋(input) 지표, '아웃풋(o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