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앱을 쓰면 반드시 알아야 할 체계화 방법 PARA
www.youtube.com
저는 노트앱과 기록에 관심이 많은 편입니다.
최근에는 제텔카스텐 방법을 알게 되서 열심히 적용해보려고 하는데, 잘 안되더라구요.
같은 팀에 계시는 분이 PARA를 소개시켜주셔서 일단 적용했고 조금씩 적응해 나가는 중입니다.
노트들이 체계적으로 잘 정리되는 것 같아서 일단 만족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도 노트 폴더 정리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이시라면 한번 써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아래는 영상의 요약입니다.
PARA는 티아고 포르테라는 사람이 만듬
노트의 분류를 카테고리가 아닌 행동에 기준하여 분류하는 방법
처음 노트 작성시 어디에 둘지 고민을 덜하게 된다.
Project, Area, Resource, Archive 이라는 4가지 주요 폴더를 사용한다.
Project : 목표와 데드라인이 명확한 일
회사일
개인 업무
이사
책쓰기
여행
Area of responsibility : 책임의 영역. 목표, 데드라인이 있지는 않으나 꾸준히 신경써야 하는 일
자기관리
건강
재정 관리
인간 관계
Resource : 자료나 관심있는 것들을 주제별로 모아놓음
책
커리어
개발관련
기획관련
운동
Archive : 현재 사용하지 않는 자료 보관용
완료된 Project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Area
관심이 없어진 Resource
노트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계속해서 변한다.
장점
찾기 쉽다
노트가 어떻게 필요할지 생각
유동적으로 노트를 옮기는 방식은 노트 관리의 부담을 줄여줌
추천 도서
티아고 포르테의 세컨드 브레인(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140661)
https://www.youtube.com/watch?v=lkRQuMIbFYc&t=1s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0월 20일 오전 9:41
2022년 말이 었나요? ChatGPT가 처음 등장했을 때, 앞으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라는 새로운 직업이 뜰 거라는 말이 정말 많았습니다. LLM(Large Language Model)으로 부터 최소한의 질문으로 원하는 응답을 얻기 위해서 프롬프트를 최적
... 더 보기S
... 더 보기이
... 더 보기AI 기술이 우리 일상과 산업 전반에 스며들면서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 역시 큰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코딩을 돕는 AI 에이전트의 등장은 개발 생산성에 대한 큰 변화를 만들고 있다. 나 역시 이러한 변화를 체감하며, 나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두 축인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영역에서 AI 기술이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변화하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 본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