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AI 사태(?)와 효율적/효과적 이타주의 운동

이번 샘 올트만 OpenAI 전 CEO의 갑작스런 해고의 배경에 대해서 많은 논란들이 있었지만, '효율적/효과적 이타주의' 사상에 대한 기반한 AI의 안정성과 신뢰성 vs AI 비지니스 측면의 헤게모니 충돌이 그 배경이 되고 있다. '효율적/효과적 이타주의' 사상은 그리 오래되지 않은 개념이지만, 미국의 많은 젊은 CEO들과 투자자들, 그리고 최근 AI의 대두로 AI의 옹호론자와 종말론자의 열띤 토론이 전개되면서 효율적 이타주의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하고 있다.


  1. 용어

  • 한국에서는 효율적 이타주의 또는 효과적 이타주의라고 명명하는데, 여기에서는 효과적 이타주의로 이야기하고자 한다.


  1. 효과적 이타주의 (效果的利他主義, 영어: effective altruism)

  • 개념: 타당한 근거와 추론에 기반하여 이타주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사회운동 혹은 윤리학적 사조. 어떠한 행동이 가장 효율적으로 타인과 인류에게 영향을 끼치는지를 체계적이고 결과주의적인 방법론으로 분석하려 한다는 점에서 전통적 이타주의 및 자선사업과 접근방식 등의 차이 / 불평등, 동물 복지 및 장기적으로 인간 생존에 대한 위험으로부터 보호, 글로벌 건강 및 개발, 사회적 행동이 포함 됨

  • 대표적인 제창자는: 윤리학자 피터 싱어(Peter Singer)- 저서 The Life You Can Save

  • 영향 준 철학자들: Peter Singer, Toby Ord, William MacAskill

  • 발전: 2000년대 발전, 2011년에 '효과적인 이타주의' 이름 만들어짐 -> 2013년부터 효과적인 이타주의에 관한 글로벌 컨퍼런스 개최

  • 실행

    • 가장 많은 생명을 구하고 가장 많은 고통을 완화할 것으로 추정되는 과학 프로젝트, 기업 벤처 및 정책 이니셔티브의 우선 순위 지정에 광범위하게 적용

    • Facebook 공동 창립자 Dustin Moskovitz 수십억 달러를 기부

    •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창립자 Sam Bankman-Fried(~2022년 파산전까지). 단, 파산 이후 이 운동에 대한 논란과 비판의 원천이 되고 있음


  1. OpenAI의 효과적 이타주의 vs 비지니스 성장(생존)

  • 효과적 이타주의 관점

    • 오픈AI는 “오픈AI의 수혜자는 투자자가 아닌 인류(The Nonprofit’s principal beneficiary is humanity, not OpenAI investors)”라고 밝히고 있다.

    • 효율적인 이타주의자들(Effective Altruists)’ 운동: 선한 의도를 가진 사람들이 엄청난 부자가 되어 그 돈을 좋은 일에 기부하는 것이 인류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모임

    • 샘 알트만은 올해 3월 뉴욕타임즈 인터뷰에서 “오픈AI가 세계의 부의 대부분을 확보한 다음 사람들에게 재분배하는 게 목표”라고 밝힌 바 있다.

    • 오픈AI 대변인은 벤처비트와 인터뷰에서 “우리 이사회 구성원 가운데 ‘효율적인 이타주의자들’ 멤버는 없다”고 밝혔다.

  • AGI

    • ‘AGI(인공일반지능 출현)에 대비해 인류를 위한 AI 연구’라는 목적으로 2015년 설립된 오픈AI는 비영리단체

    • 초지능에 대한 우려는 제프리 힌턴, 요슈아 벤지오, 앨런 튜링, 일론 머스크 및 OpenAI CEO 샘 올트먼과 같은 주요 컴퓨터 과학자 및 기술 CEO가 표명

    • OpenAI에서는 AGI를 ‘대부분의 지적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정의. 그러나, OpenAI CTO인 Mira Murati는 현재 AGI를 만들기에는 아직 인턴 정도의 수준이며, 는 여전히 신뢰성 문제가 있기 때문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는 없다고 평가함.

    • 오픈AI가 지난해 말부터 '아라키스(Arrakis)'라는 모델 개발을 진행했으나 올여름 프로젝트를 폐기한 것으로 보도됨. 또 아라키스는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올초 오픈AI에 100억달러를 투자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 참고로, 아라키스는 '듄' 소설에 가상의 사막행성을 의미

    • 최근 소식에 따르면 OpenAI는 일반인공지능(AGI)를 겨냥한 차세대 모델 ‘GPT-5’를 개발 중으로 드러남. 그리고, 이에 대한 투자를 계속 유치하려고 했었던 상황

** 정렬이란?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의도와 일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정확하게 작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안전성은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모델을 사용하여 유해한 결과를 생성하려는 오용과 같은 다른 사항도 고려하여 안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


  1. AI 옹호론자와 AI 종말론자

  • AI 윤리와 관련해서는 AI가 인간을 멸종시키는 것을 막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

  • AI 옹호론자(안정성)

    • AI 안전성: AI 시스템이 프로그래머의 의도에 복종하고 인간을 해치지 않으면서 권력을 추구하지 않도록 막는 새로운 연구 분야

    • AI 시스템이 프로그래머의 의도에 복종하고 인간을 해치지 않으면서 권력을 추구하지 않도록 막는 새로운 연구 분야로 효과적 이타주의와 밀접한 관련

    • 페이스북의 공동 창업자 더스틴 모스코비츠와 전 헤지펀드 매니저 홀든 카노프스키가 설립한 재단 ‘오픈 필란트로피’와 같은 효율적 이타주의 관련 단체들은 최근 몇 년간 AI 안전성에 초점을 맞춘 여러 센터와 연구소, 커뮤니티 건설을 지원

    • 미국의 비영리단체 '삶의 미래 연구소'(FLI)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등이 AI가 인류에 심각한 위험성을 미칠 수 있다며 최첨단 AI시스템의 개발을 일시 중단하자는데 서명한 공개서한

    • AI의 옹호자들은 오픈AI와 구글의 딥마인드로 대표

  • AI 종말론자

    • 강력한 AI가 연결되면 인류가 멸망할 것

    • 미국의 작가이자 비영리단체 기계 지능 연구소(MIRI) 엘리저 유드코프스키가 이 진영을 대표

    • 거대 언어모델(LLM)의 폐해를 경고하는 논문의 공동 저자인 팀닛 게브루 전 구글 AI 윤리팀 기술책임자가 진영의 대표적 인물


>> 이러한 AI의 안정성이 우선시되지 않는 비지니스 드리븐 방식의 샘 올트만의 일방적인 리드가 이번의 성공적인 쿠데타의 발단이자 결정적인 계기라고 봄.

효과적 이타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ko.wikipedia.org

효과적 이타주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3년 11월 20일 오전 11:48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피터 드러커가 말한 7살도 아는 성공 공식 >

    1

    ... 더 보기

    많은 분들이 찾아주시면서 입소문이 났는지 계속 개설 요청이 이어지네요. 지난 3기가 7월 20일경에 끝났는데 개설 요청으로 인해 8월말에 4기를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재무재표를 통해 산업과 시장을 읽고, 기업과 사업모델을 파악하고, 나아가 나의 사업

    ... 더 보기

    [B라운지] 4주만에 재무제표 기초 정복하기 (4기) : PBR

    www.pbr.kr

    [B라운지] 4주만에 재무제표 기초 정복하기 (4기) : PBR

    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개정 2판

    ... 더 보기

    < 보여서 걷는 게 아니라, 걷다 보니 길 >

    1

    ... 더 보기

    < 혁신의 첫 반응은 '박수'가 아니라 '야유'다 >

    1

    ... 더 보기

    초중고딩 어렸을 적 과학시간에 석유와 석탄이 만들어지는 원리와 과정을 배울 때마다 이해가 되지 않아서 그냥 외웠었다. 석유는 공룡을 비롯 동물이 죽어서 만들어지고 석탄은 식물이 죽어서 만들어진다고 배웠는데, 석탄이야 식물이 워낙 많았고 죽으면 자연스럽게 땅에 묻히니 그럴 수도 있겠다 이해가 되었지만, 석유는 아무리 생각해도 말이 안되었다. 동물이 화석이 될 확율이 극도로 낮다는 점을 생각하면 동물이 한꺼번에 같은 장소에서 갑자기 많이 죽어서 결국 석유까지 될 확율은 매장되어 있는 석유량을 볼 때 더 말이 안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배울 때마다 당시 과학선생님들께 이해가 안된다고 질문을 드렸으나 속시원한 답을 들어본 적은 없었다. 그렇게 10대에 그 궁금증을 묻고 지금까지 잊고 살았다. 그러다 우연히 생각나서 찾아보니...


    비행기가 나는 과학적 원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조차 속 시원하게 설명하기 어려운 질문 중 하나라고 한다. 많은 학설 중 다수의 과학자와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하나는 바다 미생물 이론인데, 이 이야기는 들으면서 고개가 끄덕여질 정도로 납득이 되더라.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