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로 인해 바뀌게 될 근무 환경의 미래를 건축가의 시선으로 바라본 아티클입니다. 동대문 패션을 기반으로 하는 딜리셔스의 제품팀은 자체 운영하는 물류센터, 상품을 촬영하는 스튜디오 등 재택 근무가 어려운 직군들과 함께 일하고 있어 전면 재택 근무를 시행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습니다. 또한 이미 적합한 인프라와 경험을 갖춘 회사들과 달리 아직 원격 근무가 익숙하지 않은 분들이 많았으며, 초기에는 원격 근무의 효율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많았던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모두가 반드시 사무실에 있어야만 일이 굴러간다는 것도 그렇게 효율적인 것은 아닙니다. 어짜피 업무의 많은 부분은 Slack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되고 있으며, 불필요한 미팅을 잡는 것은 죄악시 되는 분위기였으니까요. 결국 딜리셔스는 전면까지는 아니지만 일주일 중 1~2회를 재택 근무로 돌리는 실험을 해 보기로 했습니다. 직원 개인이 일주일 중 하루를 선택해 재택 근무를 하기도 하고, 하루를 지정해 사무실을 모두 비워 보기도 했습니다. 솔직히 개발팀만 생각해 보면 전면 재택 근무가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데일리 미팅은 Slack에서 업무 내용을 공유하는 것으로 대체하고, 작업한 내용은 Github에 Pull Request로 날려서 다른 개발자가 온라인 리뷰합니다. 긴급하게 논의할 내용을 Slack DM으로 전달하면 바로 답변이 날아왔습니다. 회의는 Zoom이나 Google Meet을 사용하여 화상으로 진행했습니다. 그러나 모든 것이 이렇게 아름답게 돌아간 것은 아니었습니다. 순환 재택 근무를 시작하면서 특정한 경향성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 아키텍처 설계나 부서간 협업이 필요한 회의는 참석자 모두가 재택 근무하지 않는 날을 고르게 되었습니다. • 재택 근무자가 없는 다음 날로 논의를 미루는 모습이 자주 보였습니다. • 심지어 다음 날 재택 근무라서 배포를 할 수 없다는 얘기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이것이 원격 근무에 잘 적응하지 못한 모습으로 보일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이는 아무리 언택트 시대라 하더라도 모여서 얼굴 맞대고 논의하고 결정하는 것이 훨씬 정확하고 효율적이라는 사실을 모두가 암묵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사무실에서도 중요한 내용일수록 메신저나 메일로 내용을 전달하기보다 대면 커뮤니케이션을 선택한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아티클의 마지막 단락의 내용에 많은 공감이 갑니다. 왠지 재택 근무를 잘 하는 팀은 펀하고 쿨하고 섹시해 보이고 미래에는 모두가 재택 근무를 하는 세상이 올 것도 같지만, 사실은 항상 모여서 일할 수 없기 때문에 선택한 차선책이며 일부의 비효율은 어쩔 수 없다고 보입니다. 원래부터 재택 근무를 잘 하는 팀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재택 근무를 잘 하려면 비효율을 최소화 하기 위해 많은 시도와 시행 착오를 경험해야 하며, 그런 수 있는 팀이야말로 펀하고 쿨하고 섹시한 팀이 아닐까요.

코로나19가 바꿀 사무실과 집의 미래 - BBC News 코리아

BBC News 코리아

코로나19가 바꿀 사무실과 집의 미래 - BBC News 코리아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9월 28일 오전 11:5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가짜 프로젝트 유형과 활용방안

    가짜 프로젝트의 일정이 지연되고 품질에 문제가 생겨 PM이 정칙게임의 희생양이 된다면 PM의 성장경로에 치명적일 뿐 아니라 PM의 마음도 견디기 힘들어진다. 진짜 프로젝트에서 마음 맞는 이해관계자들과 열심히 한 결과 프로젝트가 일정이 지연되면 덜 억울한데, 하지 말아야 할 가짜 프로젝트 부실을 책임지는 정치의 희생양이 되는 것은 피해야 한다.

    ... 더 보기

    Gemini CLI가 무료라길래 주말에 사용해봤습니다.


    기존에 만들던 프로젝트가 있는데, 현재 중간 기능까지만 완성된 상태인데요,

    시간과 의욕이 없어 중단된 상태였는데, 좋은 기회다 싶었습니다.

    ... 더 보기

    아이디어가 솔루션이 될 수 알 수 없으니

    ... 더 보기

    아이디어 물량공세 | Notion

    eunhocha on Notion

    아이디어 물량공세 | Notion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4 • 조회 3,245


    데이터 작업용 Cursor 에디터 - Nao

    d

    ... 더 보기

    Nao - 데이터를 위한 Cursor | GeekNews

    GeekNews

    Nao - 데이터를 위한 Cursor | GeekNews

    [조직의 성과를 바꾸는 3가지 방법]

    ... 더 보기

    스타트업 다이어리 : 네이버 블로그

    blog.naver.com

    스타트업 다이어리 : 네이버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