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이코노미스트 기사. 조국으로 인한 국가분열을 기생충 영화/스카이캐슬에 비유하면서 잘 정리해줬다. 참 슬픈 사실이 많이 지적된다. 한국은 선진국중 가장 사회적 계층이 부모가 누구냐에 따라 좌우되는 국가라는 연구결과 등등. 우리는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사회를 만들수 있을까. 이 글을 읽는 모두와 같이 고민해보고 싶은 문제가 아닐수 없다.

The president promised South Koreans a meritocracy

The Economist

The president promised South Koreans a meritocracy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10월 14일 오후 4:0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어려움을 극복하는 힘

    ... 더 보기


    MCP 이제 정말 써보고 싶지요?

    ... 더 보기

    [MCP] 업무에 유용한 MCP 7종 설치 방법 알아보기 - 골든래빗

    bit.ly

    [MCP] 업무에 유용한 MCP 7종 설치 방법 알아보기 - 골든래빗

     • 

    저장 5 • 조회 202


    당근의 엔지니어가 긴밀하게 협업하는 방법

    ... 더 보기

    당근의 엔지니어가 긴밀하게 협업하는 방법

    bit.ly

    당근의 엔지니어가 긴밀하게 협업하는 방법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636


    아직 나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긴한데, 실무에서의 바이브 코딩은 다르다.


    비단 개발자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기획자, 디자이너도 마찬가지로 다른 방식을 써야한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