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에서 기여도 기준이 뭔가요?

조회 632

profile picture

익명

1월 13일

기술 면접용 포트폴리오에 프로젝트 기여도를 적어냈는데요. 면접관이 기여도의 기준이 뭐냐고 질문했는데 제대로 대답 못했던 거 같아서 질문드려요. 1. 보통 프로젝트 기여도는 어떻게 계산하나요? 2.저런 질문을 하는 의도가 뭘까요? (부풀리지않고, 개발계획서에 기재한 사실대로 옮겨적은거라 30 또는 5,60퍼 정도였는데....)

구체적이고 정성스러운 질문에 Up 투표를 눌러주세요.

설명이 부족한 질문에 Down 투표를 눌러주세요. 커리어리가 질문자에게 수정을 요청할게요.

답변 2

정현수님의 프로필 사진

안녕하세요! 저의 생각이므로 간단하게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ㅎㅎ 면접관님이 기여도의 기준을 물어보신 의도는 제 생각에 기여도는 사람마다 생각하는 기준이 다 다르기 때문일거에요. 만약에 “기여도”라는 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서 정확하게 수식에 넣으면 몇퍼센트 딱 나올 수 있는게 아니라고 생각해서 여쭤보신 것 같아요ㅎㅎ 그래서 질문자분께서 적어놓으신 퍼센트가 어떤 기준으로 그 수치를 적었는지 궁금했을 것 같네요. 사실 포트폴리오에 누군가의 시선에 따라서 달라지는 수치는 되도록 피하시는게 좋아요. 예를들면 어떤 언어의 사용능력을 별 5개 만점으로 수치화해서 보여준다던가, 질문자분께서 적어주신 기여도 같은게 예시가 될 수 있겠죠? 사실 이런 정보들보다 “자신이 실제로 기여한 부분”을 명시해주시는게 조금 더 좋게 다가올 것 같아요. 어떤 부분에서 성능개선을 한 경험이나, 테스트 구축을 통해서 리팩토링을 거침없이 할 수 있다던가, 배포 자동화를 통한 파이프라인 소요시간 축소라던가, 상태관리는 어떤식으로 했고, 번들 사이즈를 줄여 성능을 높인다던가, 빌드 시간을 줄여 ci, cd 환경에서 확인을 빠르게 할 수 있다던가 이런 사실들이 있겠죠? 이런식으로 포트폴리오를 채워나가신다면 조금 더 명확한 질문, 그리고 거기에 질문자님은 조금 더 명확한 답변을 하실 수 있을거에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옥민수님의 프로필 사진

1. 기여도를 측정하는 방식은 다양합니다. 옛날처럼 코딩양이나 커밋수, 근무시간, 실행시간, 오류율 등을 계산하는 방식이 있을 것이고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코드리뷰, 문서작성에서의 완성도도 볼 수도 있고 태스크 단위로 업무의 난이도와 평균소요시간 대비 완료 시간을 보는 등등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어떤 기준을 세우냐에 따라 기여도는 달라지겠죠. 2. 이렇듯 기여도 측정의 기준이 다양하기 때문에 작성된 기여도가 어떤 기준인지를 알고 기여도를 이해하려고한 질문입니다. 제 기준에서는 기여도를 봤을 때 물어보는게 당연합니다. 안그러면 면접관의 기준으로 보고 오해할 수 있으니까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 개발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 개발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