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레거시 코드 리팩토링 방식

2022년 09월 02일조회 468

안녕하세요 현재 주니어 1년차 백엔드 개발자 입니다. 회사 규모가 작아 객관적인 답변 듣고 싶어서 질문 남깁니다. 개발 사수가 이펙티브 자바를 공부하시더니 꽂히셔서 챕터 하나씩 공부한 내용을 바로바로 코드 리팩토링을 하십니다. 리팩토링을 진행할때 전체적인 레거시 코드를 보고 리팩토링 할 부분을 목록화 한뒤 접근해야할지 아니면 작은 부분부터 시작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맞고 틀린문제가 아닌 스타일?!의 차이인지도 궁금합니다.

이 질문이 도움이 되었나요?
'추천해요' 버튼을 누르면 좋은 질문이 더 많은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요. '보충이 필요해요' 버튼을 누르면 질문자에게 질문 내용 보충을 요청하는 알림이 가요.
profile picture
익명님의 질문

답변 2

문승욱(카이론)님의 프로필 사진

내가 분명 답을한거 같은데 왜 날라갔지 OTL... 스타일이라고 생각되는데, 저는 작은 부분 해나가는걸 선호합니다. 왜냐면 보통 리펙토링 작업은 사이드로 진행되는지라 너무 크게 잡고 하면 마무리 못하고 어정쩡하게 끝나는 일이 종종 있거든요 (자그만일로 못만드는건 안자랑...) 다만, 각잡고 개발부채를 해결하겠다 해서 메인잡으로 진행하시는 경우는 님이 말씀하신대로 백로그를 만들고 우선순위에 따라 진행하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유근수님의 프로필 사진

리팩토링을 어떤 방식으로 하느냐보다 어떤 목적으로 하는지가 더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리팩토링을 하는 목적이 가독성 향상, 유지보수성 향상, 설계 개선에 있어야겠죠. 리팩토링을 각잡고 해야할때도 있겠지만, 평소에 코드를 짜면서 꾸준히 하라고 배웠습니다! 😄 지레짐작으로 혹시 코드를 쓰는 방식에 대해 팀내 합의가 안되셔서, 고민을 하고 계신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목록으로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