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되기 위해 석사를 계획했지만 피치 못할 사정으로 학사 졸업 후 데이터 분석가로 취업 후 이직을 계획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가가 되기 위해 인공지능 공부의 범위와 깊이는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까지 다룰 줄 알아야 할까요..?
답변 3
인기 답변
안녕하세요~ 저도 마찬가지로 데이터분석가로 취업을 해서 데이터사이언티스트로 이직을 해서 많은 경력을 쌓았습니다. 요즘 데이터분석가는 AI 범위를 따로 구분을 하지는 않지만 기본적으로 머신러닝까지는 다루실 줄 아셔야 합니다. 데이터 분석가는 데이터를 주로 다루는 업무이기 때문에 데이터 핸들링이나 전처리 부분이 제일 중요하고 그 이후에 머신러닝 부분이 중요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자세한 안내 도와드리겠습니다 https://open.kakao.com/o/s0sRpubf
안녕하세요! 저는 5대 제조 대기업, 4대 금융지주사 소속 카드사,유명 IT 스타트업, si 중소기업, 그리고 프리랜서로 일하면서 데이터 분석 직무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데이터 분석 직무 멘토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제조 대기업에 재직 예정입니다 또한, 각 기업과 산업군에 따라 자소서 작성에 대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업, 취준생, 학생들의 자소서 작성에 대한 멘토링도 가능합니다. (엘지디스플레이, 효성, 마켓컬리, 한국 조폐공사 등 합격자 배출) 따라서, 저는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데이터 분석 직무 및 자소서 작성에 대한 멘토링을 제공할 수 있다고 자신 있게 어필드립니다. 1. 데이터 직무 멘토링 - 데이터 직군을 하고 싶은 이유 및 방향성 상담 (석사여부, 데이터 엔지니어링, 데이터 애널리스트,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머신러닝 엔지니어 등) - 데이터 직군을 자소서를 위한 소재 선택 및 실전 예시 보여주기 - 작성해온 초안을 바탕으로 리뷰 2. 각 기업, 산업군별 자소서 멘토링 (IT, 금융, si, 대기업, 스타트업, 중소기업) - 각 기업, 산업군 별로 어떤 항목들이 어필되는지 실제 잡디스크립션으로 리뷰 - 기업, 산업군이 선호하는 자소서 양식 보기 * 멘토링 구성 ( 2개 영역 중 1~2개 자유롭게 선택) - 총 멘토링 시간은 영역당 약 한시간 소요 - 1개 영역선택시 시간당 6만원, 2개 선택시 시간당 5만원 - 자소서 작성 후 피드백 회당 5만원 (소재의 적절성 여부, 표현력 여부, 산업군 및 기업규모에 따른 적절성 여부) 카톡 아이디 : chocolate0716
우선 데이터 분석가로서 현재 기업에서 어떤 직무를 수행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주변 지인들을 보니 같은 데이터 분석가더라도 기업마다 하는 일이 천차만별이더라구요 ㅎㅎ 질문자님께 제가 데이터 분석을 할 때 인공지능 개념을 활용했던 예시 하나를 전달드리면 도움이 되실 것 같아요. 수요 예측과 같은 regression 태스크 또는 classification 태스크를 할 때, 우리는 많은 경우에 특정 feature들이 타겟값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는가? 에 대해 알고 싶어하잖아요? 그럴 때, 저는 LGBM(or CatBoost)의 feature importance를 많이 보려고 했던 것 같아요. 부스팅 계열 모델을 잘 알고 있으면 feature importance가 어떤 걸 의미하는지 잘 파악할 수 있겠죠? 이 예시말고 데이터 분석을 할 때, 크게 인공지능이 필요했는지는 기억에 남는 게 없네요. 데이터 분석인만큼 통계학 쪽으로 더 깊게 파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
현직자들의 명쾌한 답변을 얻을 수 있어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지금 가입하면 모든 질문의 답변을 볼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