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앱 개발하실 때 보통 뭐부터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앱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우선 앱에는 Google Books API 가 들어가고 그 외 로그인/회원가입, 댓글 쓰기 등등 기능이 들어갑니다. AWS 사용하기로 했고요! 보통 이렇게 앱 작업 하실 때 어떤 작업 먼저 진행하시나요? 앱 껍데기부터 작업하는게 쉬운가 싶긴 한데 어떤 분은 퍼블리싱하면서 백엔드 먼저 하라고 하시고.. 처음부터 다 작업하려니까 어렵네요 😅
답변 1
2시간 전 • 조회 8
기술
React 프로젝트 AWS로 배포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리액트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CI CD 환경을 구축해보고 싶어서 리액트로 만든 프로젝트를 AWS에 올려보려고 합니다 현재까지 진행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로컬 리액트 앱 - Gitea repository 연동 2. Gitea repository - AWS EC2의 Jenkins (docker) 연동 3. Jenkins 에서 빌드 후 AWS S3로 배포 4. AWS S3 버킷 - AWS Cloudfront 연동 현재 AWS S3로 저장하고 Cloudfront와 연동한 상태입니다. 이 부분에서 질문 드립니다. 1. AWS를 이용한 웹 배포는, S3에 빌드 된 디렉토리를 업로드 하는 행위 자체가 배포인건가요? 그래서 Cloudfront와 연동하여 퍼블릭 IP주소로 다른 사람들이 접속할 수 있게하는 것이 배포인건가요? 2. 위 진행사항처럼 진행하고 Cloudfront의 Url 입력 후 들어가면 빈 화면만 나오고 아무것도 나오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답변 0 • Up 1 • Down 1
하루 전 • 조회 52
기술
Aws sudo PAM account management error:Permission denied 해결법은 정말 초기화뿐인가요...?
하..벌써 세번짼데..... 왜자꾸 저러는지... 인프라팀가이드대로하고있는데....
답변 1
6일 전 • 조회 44
기술
AWS SNS 설정 관련 질문
AWS SNS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SNS와 SQS를 같이 사용하고 있는 구조인데, SNS의 MessageAttributes 값을 SQS에서 못 읽어오고 있어요. 메세지 크기 제한에 걸리는 것도 아니고 MessageAttributes로 넣어주는 값도 포맷에 맞게 잘 넣어주고 있는데 첫 10개만 보내지고 나머지는 안보내지더라구요. 혹시 이유를 아시는분 계실까 하여 질문 올립니다. 추가적으로 MessageAttributes 말고 그냥 Message를 사용해서 필터 조건을 걸 수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아시는 분 계시면 간단하게라도 답변 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답변 1
7일 전 • 조회 39
기술
aws eb disk full 에러는 왜 발생하는건가요?
aws elastic beanstalk을 사용 중인데 disk full 에러가 나면서 인스턴스가 죽더라구요. 혹시 disk full 에러가 왜 나는지 아시는분 계신가요? 또는 비슷한 에러를 만나보신분 계신 분 계신가요? 에러 로그는 단순히 "no space left on device"라고 뜨는것 같아요.
답변 1
7일 전 • 조회 52
기술
aws 서비스 로컬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aws 서비스를 로컬에서 테스트하는 방법이 있나요? 예를 들면 도커 컨테이너 같은 걸로 실제 aws 서버로는 배포는 안되지만 로컬에서 테스트 하는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 • Up 1
20일 전 • 조회 48
기술
백엔드 적합한언어를 추천받고싶어요/ 자체서버랑 aws중 추천은요??
혼자서 수업영상들을 동영상으로 찍어서 올릴수 있는 홈페이지를 만들고싶어요 독학으로 하는중이라 프론트엔드로 디자인 정도는 구현할수있겠는데 백엔드와 서버 연동이 뭘로시작해야할지 막막하더라구요 언어는 파이썬이랑 html css 정도할줄아는 상태라 효울적인 공부방법을 찾고 싶은 istp입니다 ㅋㅋㅋ 그리고 자체서버 운영이랑 aws서버중에는 뭘추천하시나요?? 비영리로 정보전달 목적으로 할생각이라 최대한 비용을 낮추는게 중요할것같아서요
답변 1 • Up 1
한 달 전 • 조회 81
기술
AWS Beanstalk 배포 하기 전에 신경써줘야 할 것이 있나요 ?
현재 nodejs로 백엔드를 구성하고 EB에 배포하는데 몇 가지 오류가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프로젝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customer └ .gitignore └ .dockerignore └ src ( 백엔드 코드 ) └ .gitignore └ Dockerfile └ Package.json -product └ customer 와 동일 -shopping └ customer 와 동일 -proxy └ Dockerfile docker-compose.yaml 리전 ap-northeast-2(seoul region) 로컬에서 빌드하고 작동하는 거 확인 후 위 코드를 모두 압축해서 EB에 올렸습니다. EB에 올리기전에 vpc , igw, 등등 미리 생성해줘야 할 게 있나요? 추가로 .gitignore 같은 파일도 같이 올려도 되나요 ? ( 초보라서 질문의 질이 떨어질 수 있지만 고수분들의 너그러운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ㅠㅠ ) 에러 로그를 보면 1. ELB Fail -> VPC has no internet gateway 2. Stack named 'awseb-e-33wucpgpey-stack' aborted operation. Current state: 'CREATE_FAILED' Reason: The following resource(s) failed to create: [AWSEBV2LoadBalancer, AWSEBInstanceLaunchWaitCondition] 3. LaunchWaitCondition failed. The expected number of EC2 instances were not initialized within the given time. Rebuild the environment. If this persists, contact support.
답변 1 • Up 1
2달 전 • 조회 68
기술
aws lambda에서 nodejs promise 비동기 호출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node.js 14를 aws lambda로 구동시켜서 작업 중에 있는데요. 배치 작업을 하나 만들었는데, 코드 중에 비동기로 다른 서비스를 호출해도 되는 요청이 있어서 await을 걸지 않았는데 로그를 보니 해당 코드가 요청하기 전에 람다가 꺼지는 것 같아서요. 혹시 이유를 아시는분 계신가요?
답변 2 • Up 1
2달 전 • 조회 99
기술
python/flask 디플로이 관련 질문드립니다.
비전공자고 부트캠프 교육만 수료하여 현재 회사에서 근무중 입니다. Python/flask 로 웹서비스를 목표로 한 1인 개발을 진행하였고 현재 디플로이만 남은 상황입니다. 서비스 흐름이 파일을 요청하면 딥러닝모델을 통한 결과를 파일화하여 다운로드 시켜주는 형식인데.. 기존엔 로컬에서만 GUI로 사용을 하다가 이번에 서비스를 시행해보려하니 모든게 처음이라 막막한 상황입니다ㅠ 알아보니.. 도커와 aws를 사용하면 된다는 키워드를 들어 그쪽으로 공부중인데 이 방향이 맞는지도 의문입니다.. 각종 조언 부탁드립니다.
답변 1 • Up 1
2달 전 • 조회 64
기술
백엔드 서버 안정화를 위한 체크사항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제 막 취업을 해 프로젝트를 진행중인 주니어 개발자 입니다. 회사의 상사분께서 ”백엔드 서버가 불안정하다“(time out error, 500 response) 라고 약간 포괄적으로 말씀하셔서 최대한 안정화를 시도해보려고 합니다. 제가 백엔드부터 배포까지 전반적인 측면을 맡고있어 어디서부터 어떻게 체크하면서 나아가야 할 지 모르겠어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질문이 조금 모호하나 안정화 관련 키워드라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2 • Up 4
3달 전 • 조회 190
기술
EC2 DB와 AWS RDS 중 고민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직 공부 중인 학생입니다.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요, DB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으로 - AWS RDS - EC2에 DB 직접 설치 이 두 가지 중에 고민하고 있습니다. 제가 알기론 - AWS RDS: (장점) AWS에서 관리를 해준다. 더 쉽게 세팅이 가능하다. (단점)비용이 더 나간다. - EC2에 직접 설치: (장점) 비용이 덜 든다. (단점) 직접 설치하는 데 번거로움이 있음. 관리를 직접 해줘야 함 이렇게 알고 있는데 맞을까요? 조언 부탁드립니다!
답변 3
3달 전 • 조회 1,221
커리어
이런것도 AWS 신입 포폴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우선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부터 올립니다. 일종의 시나리오를 구상해서 그것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인데요 고가용성 환경의 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인스턴스, ELB, AMI, 배치그룹, VPC, 오토스케일링, CloudWatch 사용) 일부러 여러 강도의 부하를 줘서 오토스케일링과 로드밸런서의 변화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한다던지 Elastic beanstalk 을 사용함에 있어 v1 사이트를 배포 후 v2 사이트로 변경 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해 다시 v1으로 변경하는 시나리오를 작성한것과 같은 보고서 형식을 AWS 포트폴리오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답변 4 • Up 3
3달 전 • 조회 513
기술
next.js / s3 + cloudfront 새로고침 403 문제... ㅜㅜㅜㅜㅜ
안녕하세요 ! next.js 로 프로젝트를 진행중에 s3 + cloudfront로 배포를 진행하였습니다 ! route53으로 도메인 지정까지 완료되어 무사히 배포된줄알았는데… 첫 index.html 페이지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새로고침시 403에러 access denined가 떠서 구글링 해보니까 403 에러시 200코드와 함께 index.html로 보내주는 해결방법이 가장 많더라구요…! 근데 지금 개발중인 서비스가 이메일과 sms로 알림발송시 페이지 링크가 발송되어 저 방법으로 해결시 링크 클릭시 리다이렉트되어 index.html로만 접속되는거같은데…. 따른 해결방법이 더 있을까요? 고수님들의 답변이 시급합니다 … ㅜㅜ
답변 2 • Up 1
4달 전 • 조회 318
커리어
신입 AWS 포트폴리오 수준
이제 취업을 준비해야할 소프트웨어 공학과 대학생(전공심화) 4학년입니다. 이력서도 중요하지만 포폴또한 중요한것을 알기에 열심히 공부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공부하는거라 장애물들이 많네요 ㅎㅎ 서론이 길었습니다 본론을 말하자면 회사에서는 어느정도 수준의 신입 AWS 포트폴리오를 원할까요? 단순히 3-tier 아키텍처를 포폴을 하자니 부족한거 같고 거기에 auto scaling 이나 Load Balancing을 추가해도.. 모자란거 같고 자빅스나 cloudwatch 같은 모니터링을 추가해야할지 아니면 이거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복잡한 환경을 구축해야할지 고민입니다..
답변 1 • Up 7
5달 전 • 조회 535
기술
AWS SES Production Access 질문
안녕하세요! 저희는 컴공 대학생끼리 모여서 작은 SNS를 만들고 11월 중순 첫 광고 및 릴리즈를 계획하고 있는 재미삼아 학창시절 학교 지원금 쓰며 즐기면서 해보자 스타트업(??) 입니다. 휴대폰 본인인증 절차는 없고 간단하게 이메일 인증을 도입하려 SES 사용할 준비 다하고 샌드백스로 테스트를 마친 다음 production access를 신청했습니다. 그런데… smtp 지식이 없는 저희라서 그런지 아무리 구체적으로 사용 계획을 적어도 거절당하고 있습니다 ㅠㅠ 어쩔수없이 gmail smtp를 임시로 사용하려고는 있는데 보통 이러한 메일 시스템은 어떻게 시작해야할지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gmail 보다는 도메인 메일이 전문성있어 보여 최대한 해보려하고 있습니다. 아마존 입장도 충분히 이해는 가서 어떻게 해야할지 조언 부탁드립니다ㅠ
답변 1 • Up 3
5달 전 • 조회 175
기술
클라우드의 완전 관리형 서비스들을 대기업에서 많이 사용하나요?
클라우드 기업에서 제공하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들을 대기업에서도 많이 사용하나요? 예를 들어, i) 메시징 큐를 위해서 EC2 인스턴스나 온프레미스 환경에 직접 RabbitMQ를 세팅 vs그냥 AWS SQS를 사용 ii) 캐시 서버를 위해서 Redis 서버를 직접 구축 vs 그냥 AWS ElastiCache를 활용 등등 지금 취업준비 하며 AWS 공부하면서 다양한 AWS 서비스들을 접하고 있는데, 물론 케이스 바이 케이스겠지만 "되도록이면 직접 다 하자" 이거나 "이미 있는걸 잘 써먹자" 하는 그런 분위기? 같은게 있을지 궁금합니다. 뭔가 대기업에서는 서비스 운영을 클라우드 종속시키지 않고 직접 운영하는 것을 선호할 거 같기도 하고, 아니면 반대로 대기업은 비용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니 그냥 적극적으로 사용할 거 같기도 하고 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1 • Up 1
7달 전 • 조회 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