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엔 완전히 새로운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방법론은 이제 잘 나오지 않는 듯.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연구는 결국 LLM의 작동 방식을 밝혀내는 일과 같은데, 이제 어느정도 성능이 표준화(?)되기도 했고, 표면적인 부분만큼은 거의 다 정리가 되어서 그런 것 같다.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3월 23일 오전 11:22

조회 1,833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서평]일잘러의 비밀, 챗GPT와 GPTs로 나만의 AI 챗봇 만들기

    ... 더 보기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www.hanbit.co.kr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MCP 가이드

    ... 더 보기

     • 

    저장 14 • 조회 852


    커리어를 쌓아야 할 때 알아야 하는 잔인한 사실들

    1

    ... 더 보기

     • 

    저장 41 • 조회 1,741


    오픈소스로 완성하는 AI Full Stack

    AI와 관련된 수 많은 오픈소스들이 쏟아지면서 오픈소스 생태계는 그야말로 AI 오픈소스 르네상스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LangChain의 성공을 시작으로 많은 오픈소스들이 나오면서 AI 업계 시스템을 빠르게 메꾸고 있기도 합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30 • 조회 8,231


    📰 대학생이 40년만에 해시테이블의 성능 향상을 이뤄냈다고

    ... 더 보기

    Optimal Bounds for Open Addressing Without Reordering

    arXiv.org

    Optimal Bounds for Open Addressing Without Reordering

    사이드 프로젝트 34개를 만들고 느낀점 10가지

    1️⃣ 아이디어의 가치는 실행했을 때 비로소 생긴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33 • 조회 5,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