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rope's A.I. 'Champion' Sets Sights on Tech Giants in U.S.
Nytimes
커리어리 친구들, 뉴욕 타임즈에서 흥미로운 취재를 했네요!
작년 하반기 LLM 업계에서 모두가 모델 파라미터가 많을수록 좋다! 라는 의견이 지배적일 때, 토큰 양은 증대시키는 데 모델 파라미터는 작게 가는 MoE (Mixtral of Expert) 기법을 선보여 지금은 AI 업계의 대세로 프랑스의 AI 아이돌이 된 미스트랄을 소개했네요!!
뉴욕 타임스가 미스트랄의 부상을 다루는 기사를 냈는데, 딥마인드 처럼 3인의 창업자가 있네. 추가로 창업자의 배경을 좀 살펴보니.
CEO인 아더 멘츠늗 딥마인드에서 3년 근무했고, 과학 디렉터인 굴리아베 람플(Guillaume Lample)과 티모씨 라크로이스는 메타의 라마 개발자들로 근무한 이력 있네요!! (영문식 발음을 해서 죄송! 불어를 몰라서! 혹시 아시면 댓글로 알려 주세요)
모두 에꼴 폴리테크 출신으로 울 나라로 치면 KAIST 나 포항공대처럼 과학 분야 출신들 입니다. 암튼 마크롱 대통령이 이들을 초청해서 맛있는 식사를 소식했다고 합니다!!
저도 25년전에 지금은 돌아가신 고 김영삼 대통령과 저녁식사를 했던 추억이 방울방울 떠 오릅니다. 물론 저 말고도 한국의 소프트웨어 업계 분들은 모두 같이요~!!
https://www.nytimes.com/2024/04/12/business/artificial-intelligence-mistral-france-europe.html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4월 13일 오전 3:08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1
... 더 보기AI가 앞으로 세상을 바꿀 어쩌구 저쩌구 하는 내용은 큰 관심 없다. 당연한 이야기기도 하고 너무 많이 듣는 이야기도 하기 때문이다. 본 기사에서 가장 흥미롭게 본 부분은 '한국은 챗GPT 사용이 가장 활발한 국가 중 하나다. 오픈AI에 따르면 한국의 주간 활성 챗
... 더 보기나는 가끔 조합형 한글의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한다.
그 아름다움은 단순히 예쁜 글꼴이나 정갈한 종이 위의 자소 배열에서 끝나지 않는다. 진짜 매력은, 정밀한 정보 구조와 이산 수학적 규칙성 속에 숨어 있다.
간만에 개발 떡밥이(신난다) 이번엔 제가 소수 입장에 있는 ORM이군요. 후후..
저는 몇몇 사건을 통해 ORM 반대주의자가 된 사람인데요.
DB 프로시저 싫어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Lambda/Serverless Function 이라고 생각해보십시오! 사실상 Serverless Function이랑 똑같은 것. Serverless Function도 싫어하시면 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