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어프레임 그리기를 멈추니 일어난 일>
많은 디자이너가 디자인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와이어 프레임을 통해 대략적인 기획과 레이아웃을 공유합니다. 비주얼이 아니라 화면의 구성 자체에 집중할 수 있고, 디자인 고도화에 시간을 쏟기 전 피드백을 받고 개선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오히려 비효율을 만들어낼 때도 있는데요. 와이어 프레임을 그리고 공유하는 과정을 없앤 후 더 효율적으로 일하게 되었다는 디자이너의 경험담을 공유합니다.
이 글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공감이 갔던 부분은, '비디자이너들이 와이어 프레임을 보고 디자이너의 의도와는다른 화면을 상상했다'는 점입니다. 화면을 구상하는 것에 익숙한 디자이너는 와이어 프레임을 보고도 완성된 화면을 쉽게 상상해 낼 수 있지만, 다른 직군의 경우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죠. 그러다보니 내가 와이어 프레임을 통해 원래 의도한 화면과 구성이 무엇이었는지 (해명같은) 설명을 하고, 갈피를 잡지 못하는 질문에 대답하는 데만 한참이 걸리기도 합니다.
와이어 프레임을 공유하는 과정에서 이해보다는 오해가 늘어 고생했던 디자이너라면, 이 글의 글쓴이처럼 와이어 프레임 과정을 과감히 없애는 시도를 해보시는 건 어떨까해요.
-
"처음부터 high fidelity의 화면을 만든다는 것은 개발에 더 많은 초점이 맞춰지고, 최종 설계화면을 기다리는 시간이 줄어들 것이라는 것을 의미했다. 명료함은 증가했고, 의심은 줄어들었다."
"와이어프레임은 보통 많은 의심과 질문을 불러들였는데, 팀원 모두가 시제품 제작을 어떻게 할 것인지 시각적으로 상상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내가 디자인을 와이어프레임으로 제시할 때마다, 나는 모든 것을 정당화해야 했고, 이것이 이미지를 위한 장소라고 설명해야 했다."
"<바로 고도화 된 화면을 작업해서 얻을 수 있는 이점>
1. 더 나은 시각적 관념 — 팀원들은 최종 디자인, 색상, 이미지/비디오 등에 대해 미팅에서 와이어프레임을 볼 때보다 더 나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었다. 와이어프레임은 모든 사람을 혼란스럽게 했고, 반면 고도화 된 화면은 사람들에게 선명함을 제공했다
2. 더 적은 시간 소요, 더 많은 생산성 — 초기에는 20–25개의 와이어프레임과 유사한 수의 최종 화면을 만드는 데 약 4주가 걸렸다. 그러나 지금은 와이어프레임을 아예 그리지 않아 시간이 단 2주로 단축되었다.
3. 더 나은 UI에 대한 실험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함 — 마감일이 다가오면, 나는 큰 변화나 실험 없이 대부분 와이어프레임을 최종 설계로 변환하곤 했다. 하지만 이제 훨씬 더 시간이 많아지면서, UI를 실험하고 미묘한 미세 인터렉션과 애니메이션을 추가하려고 노력한다.
4. 생산성 향상, 화면 개발 개선 — 와이어프레임과 토론, 미팅이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동안, 개발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시간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 와이어프레임이 사라져 개발자들을 위한 짧은 데모 비디오를 많이 만들 수 있었고, 작업할 모든 작은 세부 사항들을 제시해서 최종 제품이 디자인과 유사하게 만들어질 수 있었다.
5. 고객과의 상호 작용 개선 — 우리의 고객은 영국에 본사를 둔 연구 회사였고, 우리가 와이어프레임 프로토타입을 제시할 때마다 항상 수많은 의심과 질의를 받았다. 하지만 이제, 그 회의는 훨씬 더 효율적이고, 더 빠르고, 더 좋아졌다. 고객은 우리가 건설하려고 하는 것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체계화된 방식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