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가 아닌 저널리즘, 뉴욕타임즈] "설즈버거는 디지털 시대에 뉴스를 ‘콘텐트’라는 말로 부르는 것에 거부감이 있다고 밝혔다. 저널리즘의 결과물인 뉴스와 단순한 콘텐트는 다르다는게 그의 신조다. 설즈버거는 “난 사실 콘텐트란 말을 싫어한다. 콘텐트란 페이스북에 올리는 쓰레기(junk)”라며 “우리가 하는 건 저널리즘이다”라고 말했다. 타임은 “소셜 미디어라는 플랫폼으로 시민은 팔로워가 되고 뉴스는 콘텐트로 추락했다”며 “이 주간지조차도 의식 있는 억만장자에게 넘어갔지만 NYT는 달랐다”고 핵심을 저널리즘에 충실한 자세에서 찾았다."

NYT 디지털 독자 470만명 비결 "돈 내고 싶은 저널리즘"

Naver

NYT 디지털 독자 470만명 비결 "돈 내고 싶은 저널리즘"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10월 19일 오전 5:3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저는 책을 끝까지 읽지 않습니다 >

    1

    ... 더 보기

    브랜드 경영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경영자는 이 질문에 “브랜드를 운영하는 것”이라고 답한다. 이 답변에 재차 확인을 구하는 질문을 하면 멋쩍은 웃음과 함께 “브랜드를 ‘잘’ 운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 더 보기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The Unitas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조회 160


    요즘 '바이브 코딩'이라는 단어 자체가 유행이긴 하구나 싶습니다. 워낙 가타부타 말이 많아서요. 그래서 '근본'의 말을 들어보고 싶었습니다. 바이브 코딩의 창시자 안드레이 카파시는 역시 단순히 그 자체에 집중하기보다 '소프트웨어의 발전사'라는 큰 그림에서 바이브 코딩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어떻게 발전해 나가야 할지 보고 있었어요.

    ... 더 보기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바이브 코딩 창시자 “유행하는 말들에 현혹되지 마세요.”

    < 인생을 바꾸는 ‘큰 돌멩이’의 법칙 >

    1. 스티브 잡스는 매일 아침 거울 앞에서 스스로에게 물었다. 오늘이 내 삶의 마지막 날이라면, 지금 이 일을 계속할 거냐고.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11 • 조회 940


    개발자 교양 팟캐스트

    A

    ... 더 보기

    제미나이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