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개발 의뢰 시장

이메일로 앱을 만들어 달라는 요청을 받곤 합니다.
모두 거절합니다.

앱을 만든다는 것은 너무 피곤하고 고통스러운 일.
아마 요청하는 사람들은 이 피곤함을 잘 모를 겁니다.

이렇게 거절당한 사람들 중 앱 의뢰 시장에서 실패를 맛보고 온 사람들이 있습니다.
위시켓, 크몽 같은 앱 개발 의뢰 시장.

이런 시장에서 일상의 작은 불편함을 고쳐달라는 의뢰 정도는 괜찮은 것 같지만…
서비스라 불릴만한 것을 만들어 달라는 것은 좀 걱정스럽습니다.
과연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

건물주를 하면서 집수리 의뢰를 많이 해봤습니다.
내가 할 줄 모르는 일들을 의뢰할 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습니다.
과연 제대로 일을 해줄까? 눈탱이 맞는 건 아닐까?
결과가 맘에 들 때도 있고 맘에 안 들 때도 있었는데…
어쨌든 내 문제를 해결해 주긴 했습니다.

개발자 같은 경우에는 어떨까요?
기대했던 것과 너무 다른 결과물을 받아 들고는 실망하는 일이 비일비재할 겁니다.
문제를 해결했다고 말할 수 없는 결과물.

"내가 원했던 건 이게 아니라고."
"뭔 소리야, 난 개발 명세서에 쓰여있는 대로 만들었다고."

이런 경험을 해본 사람들이 믿고 개발 맡길 사람이 없다고 하소연하는 것.

어느 의뢰 시장에나 이런 문제가 있겠지만 개발 시장은 좀 더 미스매치가 심한 것 같습니다.
아마 의뢰하는 사람뿐 아니라 개발하는 사람도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겁니다.
서로의 생각을 일치시킨 채로 일을 시작하는 것 자체가 이 세계의 고난도 기술인 걸요.

하소연하는 의뢰인들에게 말합니다.
“공부해서 직접 앱을 만드시는 게 더 빠르지 않을까요?”

앱 하나를 온전히 만든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지만…
모르는 사람에게 부탁해서 원하는 앱을 갖게 되는 것 보다는 쉬울 것 같습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6월 12일 오전 4:08

 • 

저장 19조회 5,756

댓글 2

  • 공감합니다~ 앱을 만들어 달라는 의뢰가 아닌 나 성공좀 시켜줘 라는말로 들리네요.

  • 15년전 쇼핑몰 웹사이트 하나 만들어달라는 친구의 부탁이 생각나네요. 카톡이 성공했을때 개발자 찾아가서 카톡같은거 하나 만들어달라고 했던 사장님들도 여럿 있었다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