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뮤직 이후 변화 뇌피셜. 1. 방송사가 SMR에만 제공하던 예전 음악 무대를 유튜브에 푼다. 2. 유튜브 프리미엄을 쓰면 유튜브를 음악 플레이어로 쓸 수 있다 (UI 구리긴 함) 3. 정제된 프로그램 무대 이외의 라이브도 팬들에겐 레전드로 공유됨. 예를 들어 백예린 초록 스퀘어. 사이먼디 웨얼유앳 @꿈꾸라 음원 발매 전 이센스의 슬림타잇과 비행 아이유 스케치북 커버 등 4. (이미 그래왔지만) 스튜디오 랩퍼나 사람들이 까대던 '춤만 추고 머리만 만지는 아이돌' 은 생겨날 수 없고 성공할 수도 없다. 어떤 상황에서도 최소 80의 퍼포먼스는 보여야 하는, 저점을 최대한 높여야 함. 나아가 자신만의 무대를 기획하는 성향도 최대한 빨리 갖춰야 함. 스스로 a&r이라고 해야 하나. 전소연이 기대되는 이유도 여기에. 5. 가수가 예능으로 성공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예전보다 더욱 더 노래와 무대만으로 성공할 수 있는 시대가 아닐런지 싶기도 함. 비디오가 라디오스타를 죽였다지만 유튜브 프리미엄 이후의 시대는 라디오스타도 성공할 수 있지 않을까. 6. 돌고 돌아 가수는 노래, 배우는 연기. 다만 드라마씬은 연기력이 곧 드라마의 매출이 아니라는 게 함정. 20대 남녀 투톱 드라마는 믿고 걸러도 되긴 함. 델루나 제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0년 11월 1일 오전 1:1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야근의 관성

    제가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배운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야근이었습니다. 신입이었던 제게 야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었거든요. 선배들에게 야근은 너무나 당연한 루틴이었고, 저녁 5시가 되면 "퇴근 안 해?"가 아니라 "저녁 뭐 먹을까?"라는 질문을 던졌습니다. 누가 정해놓은 것처럼 부장님이 퇴근해야 과장님이, 과장님이 퇴근해야 대리님이, 대리님이 퇴근해야 비로서 저 같은 신입도 퇴근 생각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더 보기

     • 

    저장 15 • 조회 3,652


    레일즈와 카카오 문화

    ... 더 보기

    레일즈 철학과 카카오 문화

    K리그 프로그래머

    레일즈 철학과 카카오 문화

     • 

    저장 6 • 조회 2,795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 퇴근길 작은 트럭에게 약속의 무게를 배우다 >

    1

    ... 더 보기

    한 마디 말, 만 가지 모습

    

    ... 더 보기

    ⟪사용자를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에 대해서⟫

    ... 더 보기

    사용자를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에 대하여 | 독서모임 | 리서치 하는데요 | 트레바리

    m.trevari.co.kr

    사용자를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에 대하여 | 독서모임 | 리서치 하는데요 | 트레바리

     • 

    저장 2 • 조회 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