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스크립트에 대한 다른 접근법

오늘은 라인플러스의 황세현님이 번역해주신 글입니다.


타입스크립트에는 집합의 교집합 연산에 해당하는 인터섹션 (&) 타입이 있습니다. { x: number } 타입과 { y: number } 타입이 있다고 가정할 때 두 타입의 인터섹션 결과는 { x: number, y: number } 타입이 됩니다. 단순히 생각했을 때, 두 타입은 공통된 항목이 없는 것 같은데 왜 인터섹션 결과는 다르게 나올까요? 이 글에서는 타입스크립트의 타입을 해당 타입에 할당할 수 있는 항목의 집합 관점으로 해석하며 그 이유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인터섹션 외에 다른 기본 타입들도 잘 풀어서 설명하고 있으니, 타입스크립트에 대해 더 깊게 이해하고 싶으신 분들은 읽어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


글 링크 : https://velog.io/@sehyunny/a-diff-way-to-think-about-ts

(번역) 타입스크립트에 대한 다른 접근법

velog.io

(번역) 타입스크립트에 대한 다른 접근법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8월 13일 오전 12:58

 • 

저장 32조회 4,00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데이터 분석가 600명의 이직 결심 사유는 무엇일까요?

    ... 더 보기

    - YouTube

    www.youtube.com

     - YouTube


    < 답답한 팀원 때문에 잠 못 드는 리더에게 >

    1

    ... 더 보기

     • 

    댓글 2 • 저장 4 • 조회 884


    < 보여서 걷는 게 아니라, 걷다 보니 길 >

    1

    ... 더 보기

    진짜 1인 개발자 전성시대

    1

    ... 더 보기

    진짜 1인 개발자 전성시대

    K리그 프로그래머

    진짜 1인 개발자 전성시대

    📣 Interview Coaching 베타 릴리즈!!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