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입스크립트에서 'As Const' 이해하기

오늘 소개해드릴 글은 카카오의 박수빈님이 번역해주신 글입니다.


TypeScript 3.4에서 도입된 상수 어설션(const assertions)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는 글을 준비했습니다. 이 글은 타입의 종류에 따라 상수 어설션이 어떻게 다르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왜 유용한지를 쉽게 설명합니다. 또한, 변수를 const로 선언하는 것과 변수 끝에 "as const"를 추가하는 것의 차이점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as cons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추가적인 타입 정의 없이 타입 추론 기능을 더욱 잘 활용할 수 있게 되길 바랍니다.


  • 링크: https://soobing.github.io/typescript/typescript-as-const/

(번역) 타입스크립트에서 'As Const' 이해하기

Soobing

(번역) 타입스크립트에서 'As Const' 이해하기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4월 15일 오전 12:32

 • 

저장 33조회 4,285

함께 읽은 게시물


창업 후 성장이 필요하거나, 회사의 규모에 상관없이 성장이 정체되어 있는 회사들은 주먹구구식 경영에서 탈피하여 회사를 시스템화해야 합니다. 이는 회사의 생존은 물론이고, 한 단계 더 높은 도약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입니다.

... 더 보기

[주먹구구식 경영 탈피] 도대체 회사의 시스템(체계)이란 무엇일까요?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주먹구구식 경영 탈피] 도대체 회사의 시스템(체계)이란 무엇일까요?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DDD와 AI

... 더 보기


< 저는 책을 끝까지 읽지 않습니다 >

1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