멤버십 도입 가이드

1. 멤버십 등급 나누기

1) 등급 기준 정하기

우선 주요 플랫폼들의 멤버십 등급 기준을 살펴보면, 주로 2가지 기준으로 등급을 나누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①누적 구매 금액

②구매상품 건 수


2) 등급 나누기

등급 기준을 정했다면 다음은 기간을 정해야 합니다. 누적 구매 금액 기준이라면, 3개월 누적으로 할지 6개월 누적으로 할지를 정하는 것입니다. 이는 업종에 따라 달라질 텐데요. 예를 들어, 패션 브랜드처럼 여름과 겨울 시즌에 고객 객단가가 크게 달라지는 경우, 6개월 이상을 기준으로 여름/겨울 시즌이 모두 포함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멤버십 효과 판단하기

멤버십 기준도 정하고 등급도 나누었는데, 이게 어떤 효과가 있을지 판단하려니 막막할 수 있습니다. 이때 기존 고객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합니다.


1) 등급별 이동 비율 확인하기

비성수기/성수기, 간절기 등 시즌을 대표하는 월을 각각 지정하여 등급별 이동 비율을 비교합니다. 여름에서 가을로 이동하는 간절기 시즌을 예로 들어보면, 9월 고객 기준으로 10월의 등급 이동 추이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9월에 1등급이었던 고객(2월~8월까지 6개월 누적 구매 금액 기준)이 10월에 1등급을 유지하는지, 다른 등급으로 이동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말이 조금 복잡할 수 있는데요. 아래 표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본 게시글은 ‘ONEPOINT’의 콘텐츠를 보고 영감을 받아 공유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원문을 읽어보세요 🙏🏻

멤버십 도입 가이드 : 등급 기준과 효과 분석 방법 - 원포인트 블로그

원포인트

멤버십 도입 가이드 : 등급 기준과 효과 분석 방법 - 원포인트 블로그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4년 9월 17일 오전 2:5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최근에 발견한 신박한 뉴스레터 Top 4

    1. 롱라이프랩(LLNC) : 시니어 비즈니스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뉴스레터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 필요한 생각과 레퍼런스를 전해주는 뉴스레터입니다. 건축학 박사 과정 중인 분께서 운영하는 뉴스레터라서, 마치 논문처럼 꼼꼼하게 사례를 분석해

    ... 더 보기

    조회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