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홍보용’에서 ‘수익 창출형’으로 진화한 기업 브랜드 채널 - DIGITAL iNSIGHT 디지털 인사이트
DIGITAL iNSIGHT 디지털 인사이트
안녕하세요. 브랜드의 성장을 돕는 콘텐츠 마케터 유크랩 선우의성입니다.
해당 글은 디지털 인사이트에 기고한 칼럼 <‘단순 홍보용’에서 ‘수익 창출형’으로 진화한 기업 브랜드 채널>에서 발췌했습니다.
https://ditoday.com/%eb%8b%a8%ec%88%9c-%ed%99%8d%eb%b3%b4%ec%9a%a9%ec%97%90%ec%84%9c-%ec%88%98%ec%9d%b5-%ec%b0%bd%ec%b6%9c%ed%98%95%ec%9c%bc%eb%a1%9c-%ec%a7%84%ed%99%94%ed%95%9c/
컬리가 운영하는 ‘일일칠’ 채널의 간판 프로그램 ‘덱스의 냉터뷰’는 천만 뷰가 넘을 정도로 높은 화제성을 불러일으키는 오리지널 웹예능 콘텐츠입니다. 해당 콘텐츠의 가장 큰 장점은 ‘재미’입니다. 화제성 높은 출연자, 진행자의 매력, 그리고 이제는 자리 잡은 인터뷰 포맷 등 다양한 장점 덕분입니다.
하지만 해당 콘텐츠의 진짜 목적은 ‘재미’에 있지 않습니다. 재미있는 콘텐츠를 기반으로 실제 판매 증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이브의 장원영이 출연한 ‘별에서 온 원영이의 모든 것’ 편의 경우, 인터뷰에 등장한 아이템을 ‘4세대 만년돌의 럭셔리 냉장고’라는 상세 페이지로 연결할 수 있는 링크를 고정 댓글에 남겨 놨습니다. 이를 통해 오늘 등장한 제품과 식재료를 바로 컬리에서 살 수 있도록 연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이 가장 빛을 발하는 분야는 바로 홈쇼핑입니다. 점점 낮아지는 TV 시청률 등 다양한 원인으로 홈쇼핑 기업의 수익은 하향세를 그려왔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이 바로 ‘멀티채널’입니다. 그중에서도 유튜브, 라이브 커머스 등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찾아 나서기 시작했습니다.
현대홈쇼핑의 ‘앞광고제작소’는 웹예능을 통해 제품을 소개하고, 해당 제품을 홈쇼핑 구매 페이지로 연결해 전환율을 높이려는 신선한 시도입니다. ‘돌아온 하녀’ 편의 경우 권혁수, 임우일, 지예은 등 유명 연예인들이 출연한 상황극 형식의 웹예능으로, 로보락 청소기 판매를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웹예능 콘텐츠는 TV 홈쇼핑의 유튜브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주목할 점은 TV와 다른 포맷인 웹예능으로 이를 실현하려고 했다는 점입니다. 이처럼 홈쇼핑 채널의 경우, 실제 타깃에게 어필할 수 있는 웹드라마, 웹예능 등 유튜브에서 사랑받는 포맷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CJ오쇼핑은 영상 콘텐츠 ‘IP 유니버스’ 확장을 통한 콘텐츠 커머스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웹드라마 ‘눈떠보니 라떼 시즌2’는 콘텐츠 화제성을 기반으로 특정 상품의 CJ온스타일 모바일 앱 방문을 폭발적으로 성장시키는 성과를 내기도 했습니다. 실제 ‘서리태콩물두유’ 상품의 2024년 5월 모바일 주문량은 전월 대비 17배 증가했습니다. 영상에 등장한 판매 상품들의 링크를 타임라인과 함께 세심하게 설명란에 노출하고, 태그 기능을 통해 바로 판매 페이지로 연계하는 등 판매로 전환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글은 디지털 인사이트에 기고한 칼럼 <‘단순 홍보용’에서 ‘수익 창출형’으로 진화한 기업 브랜드 채널>에서 발췌했습니다.
https://ditoday.com/%eb%8b%a8%ec%88%9c-%ed%99%8d%eb%b3%b4%ec%9a%a9%ec%97%90%ec%84%9c-%ec%88%98%ec%9d%b5-%ec%b0%bd%ec%b6%9c%ed%98%95%ec%9c%bc%eb%a1%9c-%ec%a7%84%ed%99%94%ed%95%9c/
프로필: https://vvd.bz/fPtY
브런치: https://brunch.co.kr/@swesone/
강연/협업 문의: swesanchor@naver.com
인스타그램: www.instagram.com/swes_creator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2월 7일 오전 3:43
A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