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KLCH: 인간 친화적인 CSS의 색상 모델
www.daleseo.com
색상 모델(color model)이란 색상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는 모델 또는 시스템을 뜻합니다.
아주 옛날부터 많이 사용되었던 색상 모델인 RGB는 빛의 삼원색인 빨강, 초록, 파랑의 혼합으로 색상을 나타내는데 16진수 코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직관성이 떨어집니다. RGB 이후에 등장한 HSL 모델은 색조(Hue), 채도(Saturation), 밝기(Lightness)로 색상을 표현하는데 색상 차이를 수학적으로 계산합니다. 그래서 HSL에서는 두 색상이 수치상으로는 대비가 커 보이지만 실제 사람의 눈으로 봤을 때는 대비가 낮은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습니다.
비교적 최근에 CSS에 도입된 OKLCH는 이러한 전통적인 색상 모델보다 가독성과 정확도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잇습니다. 밝기(Lightness), 채도(Chroma), 색조(Hue)으로 이루어진 OKLCH 모델은 사람이 실제 눈으로 색상을 인식하는 방식에 더 가깝게 설계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OKLCH 모델을 구성하는 3가지 요소는 서로 독립적이라서 기존 색상 모델보다 훨씬 정밀하게 색상을 제어하고 대비를 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OKLCH이 기존 색상 모델과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 간단한 실습을 통해서 OKLCH의 특장점을 살펴보겠습니다.
📝 포스팅: https://www.daleseo.com/css-oklch/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2월 12일 오후 11:47
얼
... 더 보기📰 인공지능만으로 운영된 스타트업의 실패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연구자들은 “TheAgentCompany”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이 회사는 AI 모델들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재무 분석가, 프로젝트 매니저로 일하는 곳.
정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