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사용하여 코딩하며 느낀 점들

최근에 회사 업무로 데모를 작업해야 할 일이 있어서 (프론트 + 백엔드/AI + GCP 인프라) cline + gemini 2.5 pro 조합으로 한동안 vibe coding 스타일로 업무를 진행해 보았습니다.


요즘 많이들 사용하는 cursor는 회사 업무 관련해서 쓰기에는 보안 정책 문제가 있어서 Gemini 2.5 pro를 cline plugin을 통해서 사용해 본 것인데요.. 몇가지 느낀점을 써보자면:


  • 일단 너무 편하고 좋았습니다. 특히 제가 프론트엔드쪽이 많이 약한데 react 코드 생성이나 수정을 너무 잘 해주네요. 기존 코드베이스가 있고 처음보는 라이브러리도 있어서 기존같으면 스터디하고, 코드 분석하고, 디버깅하며 작업해야 하면 대략 2주정도 걸릴 만한 프론트엔드 작업이 하루정도 걸렸습니다.

  • 느낌이 마치 1~3년 경력 신입/주니어 개발자들을 여러명 데리고 일하는 느낌입니다. 근데 말을 찰떡같이 잘 알아듣고, 개발 속도도 엄청나게 빠르고, 지치지 않고, 아주 똑똑한 친구들을 데리고 일하는 느낌이라서 생산성이 확실히 엄청 높아진 느낌입니다.

  • 요즘 LLM 성능이 너무 좋아져서 한국어를 그냥 넣어도 영어랑 큰 차이 없게 좋은 결과를 내는 것 또한 개발 경험을 더 좋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 개발이 너무 재미있어졌습니다. 개발에 흥미가 확 생겼던 적이 몇번 있는데요, 1) 처음 프로그래밍을 접했을 때 2) ML을 처음 접했을 때 3) Python을 주력 언어로 쓰기 시작할 때 (지금은 Python을 그리 선호하지는 않습니다만..) 처럼 개발하면서 정말 재밌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근데 이게 개발이 재미있다기보다는 내가 할 수 있는 것들의 범위가 훨씬 많아졌다는 게 느껴져서, 앞으로 무한한 가능성이 있겠다는 생각 때문에 재미있다는 느낌인 것 같습니다.

  • 물론 아직 AI만으로는 부족한 점이 많이 보여서 vibe coding 스타일로 만든걸 production 에 넣기엔 무리일 듯 합니다. SNS 같은데 많이 보이는 것 처럼 "비개발자도 원하는거 다 만든다" 는 어려울거 같은게 개발 경험이 많지 않다면 제대로 된 지시를 내리기 어려운 경우도 좀 있는 거 같습니다. 특히 AI를 아무리 돌려도 못찾는 크리티컬한 이슈들도 있어서 기존 방식으로 고민해서 troubleshooting 하고 개발하는 것들이 여전히 필요한 경우도 꽤 많았습니다. 하지만 생산성은 확실히 몇 배로 오르는 느낌입니다.


1년 전만 해도 LLM을 개발에 사용할 때 이정도로 좋은 경험을 주려면 시간이 꽤 걸리겠다 싶었는데 정말 AI 발전 속도가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 지금은 주니어 개발자를 데리고 일하는 느낌인데 몇년 내로 시니어 이상 급의 개발자와 함께 일하는 느낌이 되겠죠? 그러면 또 개발 패러다임이 어떻게 바뀔지 궁금합니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4월 15일 오후 3:22

 • 

저장 40조회 4,255

댓글 1

    함께 읽은 게시물


    번아웃은 누가 겪는 걸까요?

    ... 더 보기

    번아웃 극복하기(경험자편)

    shiren the creator

    번아웃 극복하기(경험자편)

     • 

    저장 11 • 조회 4,444


    5쇄! >>ㅑ~ 😆😍🤩 감개무량하네요! 😭😭😭 여러분 감사합니다!! 🙇🏻🙇🏻🙇🏻

    ... 더 보기

    도전을 피하는 리더

    직장에서 빌런으로 불리는 리더의 유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아마 ‘책임을 전가하는 리더’ 일 것이다. 자신이 책임져야 할 것을 다른 사람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이다. 그런데, 책임을 전가하는 것만큼은 아니지만, 그에 못지않게 좋지 않은 유형이 있다. 바로 ‘책임을 회피하는 리더’다.

    ... 더 보기

    잡플래닛 출신 4년 차 데이터 분석가가 취준 시절로 돌아간다면

    대학생, 취준생 분들 대상으로 강연을 하다보면, '대학생으로 돌아가면 뭐 하실 거예요?'라는 질문을 종종 주시더라고요. 보통 학생분들이 생각하는 선택지는 이런 것들 인데요. 1. 전과를 해서 데이터 분석 관련 전공으로 들어간다 2. 데이터 분석 관련 대학원에 진학한다 3. AI 머신러닝 부트캠프에 등록한다 4. SQLD / SQLP / ADP / ADsP 등 자격증을 취득한다 5. 데이터 분석 공모전에 나가서 수상한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제가 취준 할 때로 돌아간다면 이 중에서 어떤 것도 고르지 않을것 같습니... 더 보기

    잡플래닛 출신 4년 차 데이터 분석가가 취준 시절로 돌아간다면

    www.youtube.com

    잡플래닛 출신 4년 차 데이터 분석가가 취준 시절로 돌아간다면

     • 

    저장 5 • 조회 1,518


    툰셰이더 테스트 완료

    ... 더 보기

    조회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