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텍스트 스위칭 - AI 코딩 부작용
K리그 프로그래머
이런 내용이 크게 눈에 띄지만, 정작 내용을 보면 결국 핵심은 비슷했습니다.
"문제 정의를 할 수 있어야하고, AI 활용 능력이 있어야 하고, AI를 검수하는 능력이 있는 사람"
개발자가 대체되지 않는다고 이야기하는 쪽은, 핵심역량이 "개발자"의 핵심역량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글들이었고,
개발자가 대체된다고 이야기하는 쪽은, 핵심 역량이 더 이상 "개발자"의 영역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작성된 글이었다는 겁니다.
여기서 알 수 있는건 명확합니다.
미래에 AI를 활용하여 프로덕트를 만드는 사람이 개발자이건 아니건 간에, "핵심 역량을 지니지 못한다면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이렇게 서로 간의 관점 차이를 인지할 수 있는 소프트스킬과 프로덕트에 대한 태도와 책임감, 즉 오너십이 중요해지는 시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PS.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AI를 통해 프로덕트를 만들 수 있는 사람은 기존의 개발자와는 다른 용어가 생겨야 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긴 합니다 :)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5년 6월 30일 오후 4:54
점
... 더 보기치
... 더 보기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