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월 전 성과 향상을 위해 OKR을 전사적으로 검토했었다. 1달 간의 시범 운영 뒤 흐지부지 사라졌는데, 가장 큰 이유는 OKR이란 이름만 안 붙였을 뿐 OKR의 핵심 요소들을 더 우리회사에 알맞게 변형해서 이미 도입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구성원들이 이미 충분한 수준의 '창조적 몰입'을 하게 만드는 상황에서 OKR의 형식을 굳이 적용할 필요가 없었다. "수년간 컨설팅을 해온 필자도 마지막 특징만큼은 쉽게 동의하지 못합니다. 그건 실리콘밸리의 독특한 문화가 한몫하는 것이라고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실리콘밸리 신화를 만든 사람 중 상당수가 자신의 꿈을 찾아 움직입니다. 이들은 당초 성장 지향, 성취 지향 마인드를 장착했습니다. 회사도 그런 사람을 모아서 세웠습니다. 한국 기업은 대부분 학교 성적이 우수한 지원자들 중에서 직원을 채용하는 관행이 있습니다. 수동적인 사람으로 조직을 채울 가능성이 크지요. OKR이 우리 상황에 딱 맞는 완벽한 성과관리법은 아닙니다. 미국 기업이라고 해서 모두 OKR을 하는 것도 아니고요."

3개월마다 목표 설정·평가하는 'OKR 방식' 뜬다

한국경제

3개월마다 목표 설정·평가하는 'OKR 방식' 뜬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10월 31일 오전 8:11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 스타트업 PM이 넷플릭스 '대환장 기안장'에서 배워야 할 2가지 >

    1

    ... 더 보기

    《선택 사항으로서의 고통》

    P

    ... 더 보기

    < 왜 사람들은 과거를 계속 반복할까? >

    1. 미래는 대개 과거를 되풀이하게 마련입니다. 피상적인 변화는 가능하지만, 진정한 변화는 드뭅니다.

    ... 더 보기

     • 

    댓글 1 • 저장 4 • 조회 854


    OpenAI가 발표한 Codex의 핵심은 AI와 함께 진짜 팀으로 일하는 것 같은 경험을 준다는거네요.


    기존의 코딩 어시스턴트는 Agent라는 이름을 붙였어도 결국은 자동완성의 확장에 그치는 것이라, 즉, 나의 뇌를 확장하는 것이라 한계가 좀 명확했는데요.


    ...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에서 주니어 개발자들이(사실 개발자라면 누구나) 보시면 좋을 아티클 모음을 공유해 주었네요! 검색엔진부터 비동기 처리, NoSQL 등 다양한 분야의 아티클들이 공유되어 있으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보시면 좋겠습니다. F-Lab 에서 공유해주신 아티클 주제를 나열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구글이 직접 말하는 검색엔진의 원리 (tali.kr) 📌 검색 엔진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xo.dev) 📌 네이버의 검색엔진의 특징과 알고리즘 (tistory.com) 📌 [네이버 블로그]네이버 검색의 원리 : 네이버 블... 더 보기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F-Lab : 상위 1% 개발자들의 멘토링

    주니어 개발자들이 읽으면 좋은 테크 아티클 모음

     • 

    저장 130 • 조회 3,529


    《땅에 쓰는 시, 조경하는 마음》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