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재미를 느끼려면 작게라도 매일 해야 합니다. 오늘은 이지원 강남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의 동아일보 인터뷰를 소개합니다. EBS <명의>에서 비만, 대사증후군 명의로 선정될 만큼 비만 분야에서 주목받는 의사입니다. 이 교수는 20년 동안 체중의 변화가 없을 정도로 자신의 자기관리에 주의를 기울입니다. 제가 관심 있게 인터뷰 내용을 본 이유는 '비만 관리'가 아니라 '사이드 프로젝트' 때문입니다. 먼저 인터뷰 내용을 요약하면 ① 그녀는 한강 둔치에서 매일 8km 걷고 뜁니다 ② 그녀는 수시로 운동 종목을 갈아탑니다 ③ 그녀는 운동을 밥 먹듯이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세 가지를 사이드 프로젝트로 치환해서 생각해봤습니다. ❶ 달리기 체력적으로 큰 부담을 느끼는 중에, 걷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말합니다. 뛰다가 걷다가 반복하면서 속도를 조절하면 운동 효과가 더 커지기 때문이죠. '서킷 트레이닝'은 중간에 쉬지 않고 종목을 바꾸면서 강도를 올리고 내리는 운동 방식입니다. 저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할 때 가장 경계해야 하는 건 '지치지 않기'라고 생각합니다. 본업과 병행하는 과업은 언제나 본업의 상황에 종속됩니다. 중요한 건, 본업이 바쁜 시기에 사이드 프로젝트를 쉬는 것이 아리나 '걷기'처럼 속도를 줄여서 계속 하는거죠. ❷ 갈아타기 사이드 프로젝트는 돈을 벌기 보다 돈이 새는 경우가 많습니다. TV 프로그램을 보고, 친구의 인스타그램을 보고 흥미가 생겨서 시작한 일이 될 때도 있습니다. 재미없다고 그만두는 대신 다른 재미를 찾아 사이드 프로젝트를 지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시간, 돈을 쏟는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원하는 가치를 얻을 수 없으니까요. ❸ 보약이 아니라 밥 먹듯이 운동이 생활이 되어야 한다는 이 교수의 말처럼, 사이드 프로젝트는 생활이 되어야 합니다.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다가 몸이 아플 때만 찾는 '보약'이 아니라는 말로 들렸습니다. 매일 30분이라도 운동을 계속해야 건강하고, 건강을 유지해야 운동이 즐겁습니다. [ 큐레이터의 문장 🎒 ]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재미를 느끼려면 작게라도 매일 해야 합니다. 저는 사이드 프로젝트를 지속합니다. 사이드 프로젝트를 지속하기 위해 본업에 충실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메인 브레이크 없이 사이드 브레이크 만으로는 안전하게 운전할 수 없으니까요!

🏃🏻‍♀️ 비만관리가 아니라 '일'을 지속하기 위한 달리기 | REDBUSBAGMAN

RBBM

🏃🏻‍♀️ 비만관리가 아니라 '일'을 지속하기 위한 달리기 | REDBUSBAGMAN

2021년 1월 12일 오후 2:38

댓글 0

주간 인기 TOP 10

지난주 커리어리에서 인기 있던 게시물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