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보다는 정신적인 것을 좇아야 한다는 말을 나도 좋아한다. 쇼펜하우어도 인성이나 지성 같은 것을 좇는게 인간 개인에게 더 좋다고 말했다. 문제는 이것도 어느정도 안정적인 삶을 보장받은 사람이나 하는 소리라는 것이다. 김현석는 교수였도 쇼펜하우어는 귀족이었다. 안타깝게도 돈은 중요하다. 내 삶을 충분히 유지 할 수 있을 정도의 돈이 있어야지만 정신적 수련을 할 수 있다. 오늘 당장 먹고 살기도 벅찬 사람한테 정신적 가치를 알아야 한다는건 대단히 오만하다고 볼 수 있다.

김형석 "100년 살아보니 알겠다, 절대 행복할수 없는 두 부류"

중앙일보

김형석 "100년 살아보니 알겠다, 절대 행복할수 없는 두 부류"

더 많은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1월 29일 오전 8:05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스스로 생각하는 힘

    

    ... 더 보기


    데이터 분석? AI 기술? 멘토링이 필요한 저연차 재직자는 주목!

    ... 더 보기

    조회 59


    AI 시대, 데이터 분석에 대해 새롭게 정의해야 하는 이유

    AI 시대를 맞이하면서 우리는 다양한

    ... 더 보기


    작은 사치를 그만두어라...250717

    1.●인생은 어떻게든 끝내야 하는 과제와같다.
    2.●그러므로 견뎌내는것 그 자체로 멋지다.

    ... 더 보기

    조회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