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신뢰를 위한 디자인 IDEO, Google, the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이 함께 개발한 도구입니다. 이중 사용자 맥락 카드는 디지털 업계에서 흔히 배제되는 사용 시나리오들을 점검해볼 수 있도록 8가지 항목을 제공합니다. 구글 디자인 블로그에 올라온 글을 보다가 발견하여 공유합니다. (구글 블로그 글-> https://bit.ly/3aAVfHm) 🔖 도구 내용 요약 - feat.약간의 개인 경험 ;) 1️⃣ 인터넷 환경: 사용자가 인터넷이 안정적인 환경에 있는지, 평균 속도는 어떠한지, 과금이 과도하게 될 수 있지는 않은지 2️⃣ 디지털 맹: 제품의 사용자가 디지털 제품을 다루는 것에 얼마나 익숙한지 점검하고 온보딩 과정에서 충분히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 4️⃣ 금융 지식 수준: 타겟유저의 금융 지식 수준이 고려되었는지.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는 금융활동은 어떤 것이 있고, 이것이 디지털화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이 있는지 5️⃣ 기기 공유: 넷플릭스나 디즈니+처럼 하나의 계정을 여러 명이서 공유하거나 TV처럼 기기를 공유할 경우 생길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이 있을지 5️⃣ 오래된 기기나 OS: 사용자를 위해 지원해야 하는 가장 낮은 사양의 기기와 OS는 무엇인지, 그것들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사용자 시나리오상의 문제가 있는지 나머지 항목은 다운받아 확인해보세요. 특히 인도, 동남아, 아프리카, 남미에 사용자를 두고 계실 경우 추천합니다. 👩‍💻 코멘트 - 개인적으로 1번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요. 2019년 프레이머 컨퍼런스 Loupe에서 Dara Oke가 발표했을 때(https://bit.ly/3oXarnz) 굉장히 공감했던 것이, 사용자의 인터넷 속도가 저희 회사 제품 개발 중에 맞닥뜨린 문제이기도 해서였습니다. 특정 국가에서 전환율이 너무 낮아서 처음에 안면 인식 기술이 가진 인종 바이어스의 일부일까 했는데 사실 인터넷 속도가 문제였죠. - 안면 인식은 사용자의 비디오 피드를 실시간으로 해석하는 프로세스가 필수적인데, 인터넷이 느릴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가 긴 로딩 시간과 끊기는 화면을 이겨내지 못하고 이탈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 또한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대량으로 소비하기 때문에, 데이터 비용이 많이 드는 국가의 사용자들은 서비스 이용에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었죠. 비슷한 문제가 있던 Spotify나 Uber같은 서비스들은 이미 간소화된 앱을 따로 배포하여 문제를 해결한 바 있습니다. - 최근 떠오르는 신제품들 대부분은 처음부터 ‘전 세계' 사용자들을 고려하여 설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그들이 종국에 사업을 확장했을 때조차 전 세계 사용자를 배제한다면, 기술 격차는 더더욱 벌어지기만 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 문제는 디자이너들이 분명히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함께해요! 🙌

Designing for Digital Confidence

Digitalconfidence

Designing for Digital Confidence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2월 7일 오후 8:4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효율과 행복》

    ... 더 보기

    실서비스에 반영할 기능을 가끔 바이브 코딩만으로 개발 해 보는데, 두어달 전만해도 어려웠던 구현이 이제 벌써 가능해졌다.

    ... 더 보기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의 첫 책 <진짜의 마인드>를 읽었다. ‘삶의 본질에 집중하는 태도에 관하여‘라는 카피에 혹해서. 무엇보다 JTBC 축구 예능 ‘뭉쳐야 찬다’에서 본 그의 유니크한 플레이의 근원이 궁금해서.

    ... 더 보기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n.news.naver.com

    서울대 출신 90만 유튜버 김진짜가 사는 법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디자인 컴포넌트 기반 AI 프로토타이핑

    A

    ... 더 보기

    - YouTube

    www.youtube.com

     - YouTube

     • 

    저장 14 • 조회 567


    피그마는 2024년 한 해 동안 7억4천900만 달러(약 1조180억원)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48% 성장했다. 올 1분기에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6% 올랐으며 최근 12개월 매출은 8억2천100만 달러(약 1조1천200억원)로 집계됐다. 총이익률은 약 91%다.

    ... 더 보기

    '디자인계 유니콘' 피그마, 재무 정보 첫 공개…IPO 청신호

    zdnet.co.kr

    '디자인계 유니콘' 피그마, 재무 정보 첫 공개…IPO 청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