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리호의 재미에 대해 호불호가 갈린다. 특히 콘텐츠 헤비유저들이 영화에 불만족하는 경향이 있고, 기술적완성도나 배우의 연기보다는 서사를 문제 삼는다. 📍그런데, 넷플릭스는 <승리호>를 왜 샀을까? 개인적으로 <승리호>는 넷플릭스의 한국 내 입지를 방증하는 작품이다. 관객 뿐만 아니라, 업계 종사자들에게까지. 이와 관련된 기사를 공유드려요. ✂️ 내용 발췌 ✂️ <옥자>를 만들던 시절의 넷플릭스는 1단계. 그야말로 인디/아트하우스(저게 미국에선 인디에요)였습니다. 씨네필이 열광하고, ‘나 넷플릭스에서 옥자봤다’라는 것이 일종의 (배타적) 인증/ 자랑이 되는 시절이었죠. (그때부터 구독했으면 고인물) <킹덤>을 만들던 넷플릭스는 팬덤 콘텐츠를 만드는 곳이었습니다. 특정 장르/서사에 열광하는 팬덤으로 확장되었고, 그들이 주변 팬덤에 넷플릭스와 그 콘텐츠를 영업하도록 전략을 짰죠. (그때 들어왔으면 덕후) <승리호>는 그 다음 시대의 넷플릭스를 상징합니다. 특별히 콘텐츠에 관심이 크지 않은 사람이라도, ‘음, 영화 한 편 값인데 그냥 한달만 샥 보고 빠질까?’를 고민하게 하는. 그야말로 CGV같은 종합선물세트 같은 넷플릭스. (아직도 안보면 머글) 이걸 정리하면 1단계: 2017년 <옥자> 시대. 20만. 인디/아트하우스. 씨네필 인증. 2단계: 2019년 <킹덤> 시대. 200만. 팬덤과 장르. 보는 사람 덕후. 3단계: 2021년 <승리호> 시대. 1,000만. 대국민 서비스. 안보면 머글.

넷플릭스는 왜 승리호에 310억이나 쓴걸까? - 이바닥늬우스

이바닥늬우스

넷플릭스는 왜 승리호에 310억이나 쓴걸까? - 이바닥늬우스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2월 11일 오전 2:26

댓글 2

  • 한국 영화사업에서도 한국영화의 국제적 위상을 드라마,게임,웹툰,캐이팝에만 있던 한류가 기생충, 살아있다 에 이어서 승리호로 이어져서 높아져서 기분이 좋은거 같아요. 지금보니 아직도 넷플릭스 글로벌 탑10안에서 5위네요.

    한국 콘텐츠를 동시다발적으로 외부에 뿌릴 수 있는 넷플릭스 네트워크가 대단합니다. 이로 인한 국내 창작자들의 수익은 없고 정성적 가치만 있으니 아쉽습니다.

함께 읽은 게시물

브랜드 경영은 무엇인가? 대부분의 경영자는 이 질문에 “브랜드를 운영하는 것”이라고 답한다. 이 답변에 재차 확인을 구하는 질문을 하면 멋쩍은 웃음과 함께 “브랜드를 ‘잘’ 운영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 더 보기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The Unitas

브랜드의 존재 목적 찾기. 브랜드 경영, 브랜드 교육

조회 146


“실리콘밸리의 힘은 개인의 자율과 책임을 극대화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사에 무슨 일이 있는지 구성원들이 알아야 한다. 소수의 리더가 관리·감독하며 이끄는 조직은 관료화될 뿐, 숨는 사람이 많아지고, 더 크게 성장하지 못한다.”

... 더 보기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조선일보

‘AI 100조’ 성공하려면 주 52시간 규제부터 풀어야… 民生은 기업 경쟁력에 달렸다


93억 버는 직장인

9

... 더 보기

제미나이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 더 보기

한국 문화가 글로벌하게 인기 있으면 이런 일까지 벌어집니다

1

... 더 보기

필리핀 외식왕국 '졸리비'는 왜 한국 브랜드만 골라 삼킬까?

n.news.naver.com

필리핀 외식왕국 '졸리비'는 왜 한국 브랜드만 골라 삼킬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