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이 굴러가려면 노가다가 필요하다. (@폴그레이엄) 최근 기업가치 108조, 실리콘밸리 비상장 기업 중 가장 비싼 회사가 된 Stripe. 그들도 초기엔 누군가가 Stripe을 한번 사용해본다고 대답하면 “컴퓨터 줘봐” 라고 하며 그자리에서 서비스를 설치해줬다. Airbnb의 초기전략은 뉴욕의 집집마다 방문하는 것이었다. Wufoo는 새로운 사용자들에게 감사편지를 손수 써서 보냈다. 창업자가 사용자를 데려오기 위해 손수 나서지 않는 이유는 1) 부끄러움과 게으름, 2) 그리고 바로 데려올 수 있는 사용자 수가 매우 적어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처음엔 손수 사용자를 데려오는 것으로 시작해 계속 성장한다면, 점점 손이 덜가는 방법으로 한 번에 수많은 사용자들을 데리고 오는 시점이 올 것 이다. 창업자들은 초기 사용자들이 당신의 서비스를 가입했을 때 이것이 자신이 한 최고의 선택이라고 느끼도록 만들어야 한다. 어떻게 하면 사용자들을 즐겁게 만들 수 있을지 계속해서 머리를 짜내야 한다. 이 일이 확장 가능하지 않아보여도 어차피 초기엔 잃을 것도 없다. 초기 사용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다가 막다른 골목에 다다르는 기업은 한 번도 본 적 없다. 만약 누군가의 문제를 수작업으로 해결할 수 있다면, 일단 해보고 점진적으로 자동화해라. 아직 자동화되지 않은 방법으로 사용자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겁날 수 있지만, 자동화되어 있는데 그 누구의 문제도 해결할 수 없는 것 보단 훨씬 낫다. 스타트업들에게 사용자와의 '과도한 관계'는 제품을 좋게 만드는 필수적인 부분이다. 제품을 최대한 빠르게 출시하고 사용자가 어떻게 사용하는지 보는게 최고다. 완벽주의는 미루는 것에 대한 변명이다. 항상 첫 번째 버전은 좋을 수가 없다. 실수했을 때 타격이 큰 영역을 제외하고는, 처음부터 완벽함을 추구하지 않는 것이 좋다. 큰 시장을 타겟하는 어떠한 스타트업이더라도 대게 작은 시장 타겟부터 시작 해야 한다. 일단 자기 자신이나 얼리어답터 친구들을 위해 제품을 만들고 나서, 좀 더 큰 시장으로 확장 할 수 있다는것을 나중에 자연스럽게 깨닫게 된다. 처음에 페이스북은 하버드 학생들을 위한 것이었다. 페이스북은 꽤 오랫동안 특정 대학교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운영되었다. 일반적으로 스타트업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확장 불가능한 고된 일들을 해야만 하므로, 스타트업을 수치만으로 생각하는 것을 멈추는 것이 좋다. 작은 규모일 때에 사용자 획득에 공격적이라면, 회사가 커져서도 아마 계속 공격적일 것이다.

확장 가능하지 않은 일을 하라 (Do things that don't scale)

Medium

확장 가능하지 않은 일을 하라 (Do things that don't scale)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3월 30일 오후 2:24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팀장님들, 질문 하나 드려보겠습니다! 오늘은 몇 개의 질문을 들으셨나요? 아마 매일 매일 한 100개 쯤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드는데요ㅎㅎㅎㅎ

    ... 더 보기

    팀장상담소 21편 회사는 학교가 아닌데..! 팀원들이 스스로 해답을 찾지 않고 답만 묻네요 _ 팀장교육,팀장과정, 관리자교육

    네이버 블로그 | IGM세계경영연구원 블로그

    팀장상담소 21편 회사는 학교가 아닌데..! 팀원들이 스스로 해답을 찾지 않고 답만 묻네요 _ 팀장교육,팀장과정, 관리자교육

    공공기관 5년차 MZ가 워라밸 버리고 "이것" 선택한 진짜 이유

    ... 더 보기

    올해 상반기 글로벌 IPO 시장 1위는 홍콩거래소가 차지했다. 홍콩거래소는 조달금액 139억달러로 나스닥(92억달러), 뉴욕증권거래소(78억달러)를 따돌렸다. 상하이증권거래소도 45억달러로 4위를 차지하는 등 중국과 홍콩거래소가 상당한 비중을 기록했다. 작년만 해도 활황세를 누리던 인도가 1위를 차지하고 나스닥이 2위를 차지했는데, 올해 홍콩거래소가 약진한 것이다.

    ... 더 보기

    나스닥 제친 홍콩, 글로벌 IPO 1위 차지한 비결 [차이나는 중국] - 머니투데이

    머니투데이

    나스닥 제친 홍콩, 글로벌 IPO 1위 차지한 비결 [차이나는 중국] - 머니투데이

    조회 179



    정부는 이런 관행이 기관의 단타 매매와 새내기주 가격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보고 의무 보유 확약 물량이 40%(올해는 30%)에 미치지 못하면 주관 증권사가 공모주의 1%를 6개월 동안 반드시 보유하도록 했다. 약 20% 수준이었던 의무 보유 확약 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리지 못하면 주관사가 공모주 인수에 따른 리스크를 안게 되는 만큼 부담이 크다.

    ... 더 보기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서울경제

    셈법 복잡해진 IPO…기관 의무 보유 강화하자 신고서 제출 '0' [시그널]

    < 진보는 조용히 오고, 파괴는 시끄럽게 온다 >

    1. 문제는 고쳐지고 사람들은 적응한다. 위협이 크면 해결책이 나올 동인도 똑같이 커진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