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마루이 백화점 '팔지 않는 가게'로 변신> 일본의 마루이 백화점은 ‘팔지 않는 가게’로 비즈니스 모델을 전환 중입니다. 소비자에게 직접 제품을 파는 D2C기업들을 유치, 매장에서는 소비자가 제품을 체험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인터넷 판매를 유도합니다. 1) D2C 사업을 진행하는 테넌트: 오프라인에서 소비자와 접점을 가지고 고객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2) 마루이 백화점 : 소비자가 자사 크레딧카드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수수료와 구매 데이터를 얻는다 [CASE 1] 신주쿠 마루이에 입점된 전자 펜 기업 와콤은 철저한 쇼룸으로 상품을 일절 팔지 않는다. 점원은 고객의 의견이나 불만을 듣고 데이터화해 펜 촉 등의 상품개발에 활용한다. [CASE 2] 유락쿠초의 마루이에는 오더 메이드 양복 <패브릭 도쿄>가 입주 이 가게도 매출보다는 고객의 치수를 재거나 접객을 하는 것에 주력하여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자전거로 통근하는데 베낭을 멜 때 어깨의 마모가 신경 쓰인다” 점원이 수집한 고객의 목소리를 기초로 마모에 강한 천을 활용한 재킷을 마련한다. 2019년 3월에는 마루이 백화점의 70%가 제품을 판매하는 테넌트였으나, 지속적으로 음식점이나 서비스 및 체험형 점포를 늘려, 현재 제품 판매 테넌트의 비중은 59%로 줄었다. 24년 3월에는 40%까지 줄일 계획물건을 판매하는 테넌트도 소비자 행동 데이터를 얻는 장소로 방향을 선회한다. “모든 물건을 인터넷에서 살 수 있는 시대이다. 물건을 판매하는 것만으로 오프라인 점포는 존속할 수 없다” 아마존으로 대표되는 인터넷 쇼핑몰에 강한 위기감을 느낀 아오이 사장은 대담한 선택을 했습니다. '체험형 점포'로의 전환입니다.

丸井、売らない店に変身 D2Cブランドと協業

日本経済新聞

丸井、売らない店に変身 D2Cブランドと協業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4월 24일 오후 1:3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함부로 쉽게 던지는 말에는 힘이 없다》

    ... 더 보기

    연봉 vs. 워라밸, 2025년 직장인들의 진짜 선택은?

    요즘 직장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건 연봉일까,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일까?

    ... 더 보기

     • 

    저장 11 • 조회 4,228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이 문제는 왜 해결해야 하죠?” 토스페이먼츠의 Product Manager는 늘 이 질문에서 시작합니다. 화면을 기획하거나, 기능을 정리하는 일보다 먼저 우리는 문제의 본질을 정의하고 싶은 사람들입니다. 그렇다면 ‘문제의 본질’부터 고민하는 토스페이먼츠의 PM은 실제로 어떤 방식으로 일하고 있을까요? 토스페이먼츠 PM 김명훈님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보세요.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toss.im

    “무엇을 만들까”보다 “왜 해야 하나요?”를 묻는 사람들, 토스페이먼츠 PM

    이젠 Claude 모델이 그렇게 압도적으로 좋은 건 아닌데, Claude Code는 진짜 분명하게 좋음. 아마도 프롬프트가 잘 되어 있어서 그런 것 같음. Claude의 다른 프롬프트들은 공개해뒀는데 Claude Code용 프롬프트는 공개를 안해줌. 역시 아무리 투명하게 공개한다고 해도 진짜 좋은 건 다 기업비밀임..


    7월 스투시 블로그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았던 브랜드,마케팅 이슈

    7

    ... 더 보기

    나는 종종 생산성을 올리기 위한 각종 개발 툴은 물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를 구매하기도 한다.


    소스 코드의 경우 실제로 써먹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수 되긴 하지만, 그래도 구성이나 코드를 보면서 배우는게 있기 때문에 학습 비용이라고 생각하고 가끔 구매하는 편이다.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