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술지원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일본 기업들 > 외과수술도 로봇이 하는 시대가 도래할 것 같습니다. 경험이 풍부한 의사의 판단이나 의료 기구 조작을 인공지능(AI)이나 로봇이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됩니다. ​ [배경] 현재 수술지원로봇 시장을 반 독점하고 있는 곳은 미국의 ‘다빈치’라는 곳입니다. 다빈치의 무기는 원격조작 로봇팔의 설계나 움직임에 관한 특허인데, 이러한 주요 특허가 2019년에 만료되면 많은 기업에게 찬스가 생기게 되고, 일본 기업들이 이 틈을 노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빈치의 로봇팔은 외과의사의 손 움직임을 지원하는 점에서는 능숙했으나 판단을 지원하는 두뇌 기능은 없습니다. 일본 각사가 AI 개발에 힘을 쓰는 이유는 시장 점유율을 빼앗아올 열쇠는 AI 즉, 두뇌에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향후 10년 내 외과 수술의 부분적인 자동화가 급격히 진행될 것으로 업계는 예측하고 있습니다. [기업 동향] 올림푸스가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지원 로봇 개발에 착수, 2024년 발매를 목표로 합니다. 내시경을 조작하는 ‘스코피스트 (Scopist)’라는 불리우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게 됩니다. ​ 가와사키 중공업은 국산 제 1호가 되는 수술 지원 로봇을 개발 중이며, 2020년대 초반에는 AI 지원기능을 추가할 예정입니다. 소니는 화상 센서나 강아지 로봇 ‘아이보’ 등에 탑재된 기술을 수술지원 로봇에 활용할 기회를 살피고 있습니다. 9월에는 수술실내 기기의 영상을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발매하였다. 앞으로는 영상을 AI로 해석해, 수술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히타치는 다양한 의료기기 정보를 연계하는 ‘스마트 수술실’을 2020년에 발매하고, 향후 AI에 의한 지원기능도 탑재할 예정입니다. ​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日本経済新聞

사용자가 공유한 콘텐츠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19년 12월 18일 오전 6:59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기획 제안형 UX 포폴, 어떻게 문제 해결력을 보여줄까?

    UX 포트폴리오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 더 보기

    < 스타트업 PM이 넷플릭스 '대환장 기안장'에서 배워야 할 2가지 >

    1

    ... 더 보기

    타입 안전한 API 모킹으로 프론트엔드 생산성 높이기

    이번에 우아한형제들 기술 블로그에 "타입 안전한 API 모킹으로 프론트엔드 생산성 높이기"라는 새 글을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 더 보기

    ChatGPT 버전명 설명

    ChatGPT 사용할 때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할지 망설여집니다. 모델명만 봐서는 어떤게 좋은지 모르겠더라고요.

    ... 더 보기


    ‘정체성에 끊임없이 의문을 품지 않았더라면 지금 같은 셰프가 될 수 없었을지도 모릅니다…물려받은 한국의 유산 가운데 지금까지도 가장 중요한 것은 음식입니다.‘

    ... 더 보기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에드워드 리가 사는 법 “나는 압박감 없이 일한다”

    조선비즈

    [김지수의 인터스텔라] 에드워드 리가 사는 법 “나는 압박감 없이 일한다”

     • 

    저장 2 • 조회 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