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중심적 생각은 회복이 힘들다
고객 중심적인 기업에서는 고객의 이야기를 합니다. 누가 무엇이 불편하다고 한다, 이걸 해 주면 어떨까, 이렇게 바꾸어 보자 같은 말 말이죠. 혁신의 격언이 된 "바보 같은 질문은 없다"가 통합니다. 회의 시간에 전체적인 결과 다른 시각의 질문에 귀를 기울이고 검토해 봅니다. 앞에서 자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익을 내는 방법은 많지 않죠. 고객 지향적인 생각보다는 보통 적습니다. 모두의 시각이 비슷해집니다. 가장 높은 비용, 당장 티 안나는 비용을 줄입니다. 이런 미팅에서는 새로운 제안은 '바보 같은 질문' 취급을 받습니다. 잠깐의 정적, 급한 마무리 말이죠
요즘 들어 데이터 관련 해외 아티클에서 ‘Decision Scientist’라는 단어가 눈에 띄기 시작했습니다. Decision Scientist란 어떤 Job이고, Data Scientist와는 어떤 것이 다른 것인지 잘 설명한 아티클 두 개를 소개드립니다! 큐레이터의 인사이트도 공유드려요 🙂
[💡 큐레이터의 인사이트]
✔️ Decision Scientist는 ‘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 문제 해결’을 최우선 순위로 합니다.
✔️ Data Scientist가 데이터 탐색에서 출발하여 통계적 분석과 ML까지 이른다면, Decis...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