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 FOMO: Fear Of Missing Out 📝 Type & Highlight [Highlighted🖍] ✅ FOMO증후군이란? - 흐름을 놓치거나 소외되는 것에 대한 불안 - 2021년 초반을 강타한 클럽하우스는 FOMO증후군을 자극한 대표적인 사례 ✅ FOMO를 이용한 마케팅의 특징 1. 수요가 많다는 것을 부각시킨다. 소비자는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을 본인만 사용하지 않는 것에 불안함과 소외감을 느낀다. 혹은 많은 사람들이 이미 사용하고 있다는 것 자체가 레퍼런스로 작용하기도 한다. 2. 제한된 시간동안만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제한된 시간에만 사용가능하다는 점은 소비자가 구매를 할 때, 다른 사람들은 누리는 기회를 본인은 놓칠 수 있다는 점이 자극된다. 3. 남들과 다른 차별성을 느끼게 한다. 선착순 혹은 초대장, 기존 유저의 추천 등으로 소비자로 하여금 본인은 특별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들게 한다. [Typed⌨️] 요즘 기업들은 MZ세대에 대해 공부하기 바쁩니다. 그 만큼 이전의 X세대, N세대 등에 비해 더욱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기 때문이겠죠. MZ세대의 특징은 항상 배움을 추구하고, 효율성을 생각하며 합리성을 추구합니다. 또 다른 특징은 디지털 네이티브로, 여러 IT 툴을 능숙하게 다룬다는 것인데요, 나에게 도움이 된다면 새로운 툴도 쉽게 받아들이곤 하죠. 즉, 위에서 소개한 FOMO 마케팅의 특징 중 MZ세대에거 적용할 수 있는 포인트가 있고, 그렇지 않은 포인트가 있을 것 같습니다. Typed도 Typed의 주요 User가 될 MZ 세대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여 MZ세대를 공략할 수 있는 적절한 마케팅을 할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클럽하우스, 포모증후군 그리고 불안사회

OUTSTANDING

클럽하우스, 포모증후군 그리고 불안사회

다음 내용이 궁금하다면?

또는

이미 회원이신가요?

2021년 5월 28일 오전 1:00

댓글 0

    함께 읽은 게시물

    브런치에서의 6년, 그리고 100만뷰

    2

    ... 더 보기

    여전히 나이를 중요하게 여기는 우리나라에서 사회생활할 때 가장 큰 변곡점이 오는 나이는 40세다. 물론 20대말과 30대 중반, 40대 중반, 50대에도 중간중간 크고 작은 변곡점이 있기는 하지만, 다시 돌이키기 어려울 정도로 이후 방향을 고착화시킨다는 의미에서, 혹은 현재 커리어패스가 중심이 아니라 이후 인생 2막이나 3막을 자발적이던 강제적이던 가야하는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에서, 사회생활 시작과 함께 만들어온 커리어패스를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다는 기준에서 볼 때, 40세는 상징적이다.


    60세면 당연히 할아버지, 할머니 소리를 들으면서 70세 전후에 죽는게 당연했던 불과 20여년 전까지만해도 예전의 40세는 일하고 있는 산업과 분야에서 전문성과 리더십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베테랑으로 이제 그동안 쌓아온 역량과 네트워킹으로 퇴직할 때까지

    ... 더 보기

    [오프라인 강의] 취업 전략

    회사에서 진행하는 무료 강연 계획이 있는데 관심 있는 분들 초대하고 싶습니다.

    ... 더 보기

    조회 710